예상대로 제 Lubuntu는 XFce4 인 관계로 겉보기에 크게 달라진 점은 없습니다. 유일하게 달라져 보이는 부분은 트레이 영역에 와이파이 아이콘이 파란색으로 바뀌었다는 정도......^^;
>
업그레이드 하고 dropbox 를 쓰려고 하니 트레이 영역에 드롭박스 아이콘이 안보입니다.
콘솔에서 dropbox start 를 입력하니 아예 dropbox 라는게 없답니다. 서비스에서 지워진건지, 지금 지워진건지 예전에 지워진건지 조차 파악이 안됩니다.
홈 디렉토리에 보니 .dropbox-dist 라는 디렉토리는 그대로 있고 그 디렉토리안에 dropboxd 를 그냥 실행해 보니 아이콘 잘 뜨고 동기화도 잘 되는 것 같으니 그냥 autostart 에서 dropbox start -i 라고 되어 있는 실행문구 부분을 '/home/my_id/.dropbox-dist/dropboxd 로 바꿔주고 재 부팅 해보니 잘 실행 되서 그냥 이렇게 쓰기로 했습니다.
그 외에 다른 문제가 있는지는 사용해 보면서 파악해야 할것 같고요.
>
이번 버전에서 저 같은 일반 유저가 느낄 수 있는 달라진 점은 설치되는 프로그램 상당수가 snap 을 이용해 설치되도록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소프트웨어' 앱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검색해서 보면 대부분 snap 설치본입니다. 예전에는 snap 버전과 apt 버전을 같이 보여 줬었는데.....
commodore 컴퓨터 에뮬인 vice 같은 경우 apt 버전이 있는데도 '소프트웨어' 앱에서 검색해 보면 snap버전만 나옵니다. 반면 snap 버전이 없는 openmsx 같은 프로그램은 apt 버전이 검색됩니다.
저도 처음 사용해 보는거니까 좀 혼란스러운데 사용해 보면서 상세히 파악해 봐야 할 거 같습니다.
일반 사용자라면 사실 snap 으로 설치되는건지 아닌지 몰라도 사용하는데 별다른 지장은 없으니 몰라도 됩니다만....커뮤니티를 보니 snap 으로 설치된 프로그램은 실행에 조금 더 시간이 걸린다며 불평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고 맘에 안들어 하는 부분도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snap 은 장점도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해 보면서 장단점을 느껴봐야 알 수 있을거 같습니다.
참고삼아 하나 더 내용을 추가 보자면.....
snap 을 GUI 로 이용할 수 있는 snap store 를 설치 가능합니다. '소프트웨어' 앱에선 안보이는 것 같고 커맨드라인으로 설치 가능 합니다.
'sudo snap install snap-store'
를 터미널을 열어서 입력하시면 설치할 수 있습니다.
snap 스토어인 만큼 snap 프로그램만 보입니다.
>
그외에 눈에 띄는건 윈도우의 게임모드 같은 기능이 추가 된건데 개발자가 그 모드를 이용할 수 있게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동작하고 수동으로 작동하게 할 수도 있는 모양입니다만....뭐....제 경우는 그렇게 까지 거대한 게임을 리눅스에서 실행하지 않는 관계로 아직은 그닥 관심이.....언제 그런게임을 실행할 일이 있으면 그때나 알아보죠. 뭐......음....그러고 보니 유로트럭을 이 모드로 실행하면 좀 빨라지려나요. 언제 한가할때 해 봐야 겠지만 지금은....
게임을 구입할 수 있는 상점들은 여러개 있지만 가장 유명한 곳은 단연 스팀(Steam)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팀의 경우에는 일반 Windows 뿐 아니라 MacOS 와 Linux 게임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스팀클라이언트를 실행해서 보다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는 게임이 있습니다.
게임을 Steam Play 를 통해 실행한다고 쓰여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Steam Play란 무엇인가?
리눅스 사용자라면 Wine 을 들어본 적이 있을것입니다. Wine 은 리눅스에서 윈도우즈 라이브러리인 Win32 를 구현한 것으로 리눅스에서 윈도우즈 실행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Wine 을 Steam 측에서 수정하여 윈도우용 게임을 리눅스에서 좀 더 원할히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로 Steam Play 입니다. 스팀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Proton 이라고 부르고 있고요. Proton 은 Wine을 해당게임이 더 잘 실행되도록 수정한것으로 소스도 공개되어 있고 자신만의 Proton 을 만들어서 게임을 실행하는데 적용하는것도 가능하다고 FAQ 에 써 있습니다.
하지만 Wine 으로 모든 윈도우 게임이 실행 가능하지 않은것 처럼 Proton도 그렇습니다. 따라서 모든 윈도우 게임이 스팀플레이로 리눅스에서 잘 실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스팀에서는 스팀플레이로 잘 실행되는 게임을 리눅스 게임쪽에 표시해 주고 위에서처럼 그런 게임들은 스팀플레이로 실행된다고 알려주고 있습니다.
리눅스용 스팀에서는 스팀 플레이에 대한 설정부분이 있습니다.
위 스크린샷에서 보면 두개의 설정이 있습니다.
위의 설정은 스팀플레이로 플레이 가능한 게임을 표시해 주겠냐는 것입니다. 이 게임들은 Steam측에서 플레이 가능여부를 테스트 해 본 게임들이기 때문에 실행에 문제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아래쪽 빨간색으로 표시해 놓은 곳은 모든 다른 게임들을 스팀플레이로 실행하겠냐는 설정입니다. 이 경우는 스팀에서 실행여부를 테스트 하지 않았거나 실행에 이런저런 문제가 있는 게임들이기 때문에 게임들이 잘 실행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냥 한번 시도해 보는 거죠. ^^;
제 경우는 아래쪽 설정을 사용해 보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리눅스에서 실행해 보고 싶은 게임이 있다면 한번 시도해 보는 것도 손해 볼 건 없겠지요.
>
스팀 플레이용 게임을 설치해 보면.....
이와 같이 Proton 을 함께 설치합니다. 게임이 77.4MB 인데 Proton이 354.3MB 네요. 게임보다 용량이 더 큽니다.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Wine 은 Win32 라이브러리를 구현한 것이니 용량이 큰것도 이해가 갑니다.
설치가 끝나고 게임을 실행해 보면 위와 같이 Steam Play 로 게임을 실행한다고 알려줍니다.
실행해보니 잘 됩니다. ^^;
>
스팀 플레이로 실행되는 게임이(스팀측에서 테스트 완료한 게임) 아직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점점 늘어난다면 리눅스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이 늘어나게 되니 어찌되었던 좋은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예전에 Retroarch 는 flatpak 패키지만 있었는데 언제부턴가 snap 패키지도 있더군요. 그래서 이번엔 Retroarch 를 snap 으로 설치하는 걸로 진행하겠습니다.
>
우분투에서 snap 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소프트웨어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센터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Retroarch 를 검색해 보면 결과가 최소 2개는 나옵니다. 하나는 일반 우분투 패키지 프로그램이고(apt 로 설치하는) 나머지 하나는 snap 패키지 입니다. 스크린샷 아래 '자세히 보기' 부분을 보면 '공급원' 이 snap 스토어로 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으로 간단히 snap 프로그램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분들은 위의 방법으로 충분하긴 한데 사실 이렇게 끝내면 심심하기도 하고 해서 터미널에서 설치하는 방법도 적어 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론 이 방법을 더 좋아합니다. 내부에서 뭔짓을 하는지 볼 수도 있고요. ^^;
snap 으로 find 를 이용해 retroarch 를 검색해 봅니다. 뭐...바로 나오네요.
자세한 내용을 보기 위해 snap info retroarch 를 이용해 보니 프로그램 설명과 아래 채널에 대해서 나옵니다.
채널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여러 다른 버전의 설치가 가능한 방법입니다. 스크린샷에 보이는 것처럼 베타 버전을 설치한다거나 하는 것 입니다. 설치시에 채널을 설정해 주면 설치가 가능한데, 따로 채널을 지정해 주지 않으면 stable 버전이 설치됩니다.
>
설명을 봤으니 이제 설치를 합니다. sudo 를 사용하는 점이 flatpak 과 다릅니다.
그런데 같은 메시지가 반복해서 나오는데...이게 원래 이런건지 버그인건지 모르겠네요. 설치에 문제는 없습니다.
>
retroarch 홈페이지의 snap 설명에 보면 설치후에 2가지 커맨드를 실행 하라고 합니다.
sudo snap connect retroarch:raw-usb
sudo snap connect retroarch:joystick
입니다.
실제로 저 명령을 직접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해서 connection 을 조사해 봅니다.
그랬더니 joystick 은 이미 연결되어 있는데 raw-usb 는 연결되어 있지 않네요. bluez 도 연결되어 있지 않는데 블루투스 장치를 retroarch 에서 사용하려면 연결을 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저는 블루투스 장치가 없어서.....)
저 connections 는 일종의 사용권한 개념입니다. 조이스틱을 사용하려면 connect 를 해야 합니다. 보통은 프로그램 설치시에 connect 해 놓습니다만...수동으로 해 줘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권한 설정은 보안때문이겠죠. 번거로울순 있으나.....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제 경우 retroarch 를 실행해 보니 조이패드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하고 raw-usb 를 연결해 봅니다.
>
아무래도 저 '연결하십시오' 라는 번역은 뭔가 오역이 아닌가 싶은데.....음...
뭐...어쨌던 raw-usb 를 연결해 봤습니다.
connections 을 확인해 보니 raw-usb 가 수동으로 연결 되었다고 'manual' 로 표시가 되는 군요.
그런데 조이패드는 여전히 작동을 안합니다. 아무래도 저거랑 상관 없는듯 하군요.
>
입력설정에서 보니 xbox360 패드가 기본이 아니더군요. 그래서 위와 같이 xbox360 패드로 설정을 바꿔주니 잘 됩니다. 설정 먼저 확인해 봤어야 했는데....쓸데없이 머리를 썼네요. ㅡㅡ;
>
그래도 혹시나 싶어 raw-usb 를 disconnect 시키고 retroarch 를 실행해 봤는데 잘 됩니다. raw-usb 와는 상관이 없었습니다. 위 스크린샷에 연결이 안되어 있는게 보입니다.
제 추측엔 리눅스에서 특정 joystick 으로 인식이 안되는 usb 패드등의 설정을 위해서 해당 설정이 필요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어쨌던 xbox360 패드의 경우는 raw-usb 설정이 필요없었습니다. 자신의 게임패드가 인식이 안되는 경우에만 raw-usb 설정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
제가 좋아하는 메가드라이브의 베어너클 2 를 실행해 봤습니다. 뭐...아주 잘 실행되네요.
우분투에선 아이콘 테마가 바뀌었고, 속도도 좀 빨라졌고, snap 관련 개선사항이 있다고 합니다만....
저는 주분투를 쓰는 터라 잘 모르겠습니다. ^^; snap 관련은 좀 관련이 있겠지만 아직 snap 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한게 없어서....
제가 쓰는 주분투 XFCE4 에서도 기본 아이콘 테마가 바뀌었고 기본 창관리자 테마도 바뀌었습니다.
예전에 xfce4 아이콘은 폴더가 파란색이었는데 윈도우와 비슷한 노란색입니다. 뭐...익숙해 보이긴 하네요. 사실 별 상관없지만...^^;
찾아보니 아이콘 테마는 elemantary xfce dark 입니다. 예전에도 있었던 테마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업데이트후 디폴트로 설정이 되어 있네요.
창관리자 테마는 그냥 default 라는 이름으로 설정 되어있습니다. 창 오른쪽 버튼을 보시면 예전과 다른게 보이실 겁니다. 저같은 경우는 판넬을 검은색 계통으로 쓰고 있어서 기본 창관리자 테마가 별로 안 어울리는것 같습니다. 다른걸로 바꿔 써야 겠네요.
xfce4 에선 그외엔 크게 바뀐점은 안보입니다.
전에도 이야기 했었지만 xfce4 를 써서 좋은 점 하나는 업데이트가 빠르다는거....아무래도 Gnome 이나 KDE 보다 패키지수도 적고 파일크기도 작아서 다운받고 설치하는 용량이 적으니까요. 제 개인적 용도론 쓰는데 불편함도 없고....
개인적으로는 18.04 LTS 에 만족하신다면 굳이 업그레이드 할 필요까진 없어 보입니다. 뭐...하긴 우분투도 그렇지만 리눅스가 전체적으로 어느정도 자리를 잡았다고 해야 할까....어느정도 완성도에 이르렀기 때문에 예전과 같이 크게 바뀔건 별로 없어보이기도 합니다. 아...wayland 관련 이슈가 있긴 하군요. ^^; 그건 어떻게 되었는지.....요즘 관련 뉴스를 체크하지 못해서 어떻게 되었는지 잘 모르겠네요.
뭐...어쨌던....완성도라는 면에서는 이의가 있으실 분들도 계시겠지만 리눅스를 오랫동안 사용했던 제가 보기엔 그렇습니다. ^^;
스팀에서 판매하는 세가사의 메가드라이브 공식 에뮬레이터인 SEGA Mega Drive & Genesis classics 가 얼마전 부터 드디어 리눅스를 지원합니다. ^^;
이미 에뮬이 있기는 하지만 스팀에서 판매하는 이 에뮬은 세가사의 공식 에뮬이니 합법적이라는 거에 의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분들에겐 별 의미가 없을 수 있겠습니다만... ㅡㅡ;
참고로 Mega Drive 와 Genesis 는 같은 게임기 입니다. 일본은 MD, 북미는 genesis.
SFC(SNES) 와 비슷한 시기에 나온 16bit 게임기 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위키등에서 검색해 보시면 아주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
지금은 Retroarch 덕에 메가드라이브도 에뮬로 잘 실행하고 있지만 리눅스에선 사실 메가드라이브 에뮬은 조금 만족스럽지 못한점이 있었습니다. 때문에 조금 빨리 나와줬더라면 더 좋았겠지만 지금이라도 리눅스로 나왔으니 환영할 일입니다.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개인적으론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간결한걸 좋아합니다) 대부분 긍적적인 평가를 하시더군요.
그런데 실행해 보면 생각보다 버벅댄다는 느낌입니다. 프레임이 잘 안나옵니다.
리눅스의 amd 그래픽 드라이버탓인지 제 그래픽 카드가 오래된 탓인지.....해결 방법은.....위에 Room Settings 로 가보면.....
Quality 가 있습니다. Fast 정도만 해도 무난하지만 저는 Fastest 로....이 옵션을 올리면 저는 15프레임 정도 밖에 안나오더군요. fast 로 바꾸면 60프레임 잘 나옵니다. 어차피 이건 실제 게임 화면 과는 무관한 설정입니다. 낮춰도 상관없습니다.
그런데 게임을 실행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게임화면이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소리는 들리는데.....
ESC 키를 계속 누르고 있거나 조이패드의 back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메뉴가 나옵니다.
위처럼 메뉴가 나오면서 화면이 보입니다. 위의 게임화면이 안보였던게 바로 Full Screen 입니다. 'Y' 버튼 대신 'A' 버튼을 누르면 다음 화면처럼 실행됩니다.
바로 이렇게요. 이거....창모드라고 하긴 좀 뭐하고....어쨌던 풀스크린은 아니죠. ^^;
아마 버그인가 봅니다. FullScreen 으로는 이리저리 옵션을 바꿔 봐도 게임 화면이 안나옵니다. 뭐....언젠가 수정되리라 기대해 봅니다.
그래서 제 경우는 에뮬레이터 설정에서 위에 표시 해놓은 곳을 체크 해제 해 줬습니다. 게임실행시 FullScreen 으로 실행하는건데....제 경우는 화면이 안나오니까요. 해제 해주면 위의 스샷에처럼 TV 에서 보는듯한 화면으로 게임 화면이 잘 나옵니다.
그 외에 이런 저런 필터도 있고 스캔라인도 있고....취향에 따라 설정해 보세요.
에뮬자체의 성능은 그럭저럭 괜찮습니다. 풀스크린 버그만 없었다면 좋았을텐데 그점이 아쉽고요. 공식적으로 멀티플레이를 지원하는데 제 경우는 그다지...전...멀티플레이를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서...
요즘 에뮬에 비하면 다소 편이적인 기능은 없기는 한데...그런 치트적 요소를 공식 에뮬에 넣기는 좀....뭐하긴 합니다.
이 에뮬의 의의는 게임롬이 합법이라는 겁니다. 저작권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들을 필요가 없다는것....그리고 스팀의 창작마당을 통해서 한글패치가 지원되고 있기도 합니다. 샤이닝 포스나 판타지 스타 같은 RPG 들을 한글로 즐기실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도 특별히 이 공식 에뮬만의 장점이라고 하긴 좀 그렇긴 하지만요.
뭐....어쨌던....떳떳하게 한글로 에뮬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뭐...훌륭한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미에서요...
스팀으로 쉽게 즐길수 있다는 점과 한글패치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것....개인적으론 그걸로 만족합니다. 번들사이트에서 가끔 게임들을 판매 하기도 해서 그때 구입하면 비교적 저렴하게 다량의 게임을 구매도 가능하고요. 가끔 지역제한이 걸리는 경우도 있어 짜증스러운 경우도 있긴 하지만요. ㅡㅡ;
우분투 18.04 가 나왔습니다. 이번 버전은 LTS 버전이라 나름 기다리신 분들이 많이 있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우분투의 경우는 Unity 가 Gnome3 로 변경되는 버전이라 데스크탑 환경의 호불호에 따라 반응은 좀 다를거 같습니다만....
제가 쓰는 Xubuntu 의 경우는....뭐....평화롭습니다. ^^;
압축관리 프로그램이 잉그람파(?) 라는 희한한 이름의 프로그램으로 변경된것과 문서보기(pdf등) 프로그램이 아트릴로 바뀐것 외에는 별 큰 차이가 없습니다. 저는 업그레이드라....바뀐 기본 프로그램이 어떻게 되나 싶었는데 기존 프로그램은 그대로 있고 바뀐 기본 프로그램들은 새로 설치되더군요. 원래 그렇게 되는게 맞는거긴 하겠죠.
그런데 기분탓인가....업그레이드 이후 폰트가 좀 달라진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메뉴 부분인데 전에도 이랬었나....솔직히 잘 생각이 안납니다.
폰트 설정이 Noto Sans 로 되어 있는걸 보니 맞는거 같기도 한데.....기분탓인가 싶기도 합니다.
폰트들을 살펴보니 Noto Sans CJK KR 이 있기에 변경해 보았습니다.
변경후 메뉴를 보니....폰트가 좀 다른게 느껴집니다. 이게 예전에 제가 보던 폰트가 아닌가 싶긴 한데....확신은 못하겠네요.
폰트 설정에서 힌팅부분의 강도부분도 변경해 보았는데 한글폰트의 경우는 '없음' 으로 설정하지 않는 이상 차이가 거의 없는듯 하더군요.
Noto Sans 와 Noto Sans CJK KR 의 한글폰트 자체가 다른건지, 힌팅 정보가 다른건지, 폰트 연결이 다른건지, 제가 업그레이드로 설치해서 그런건지....어쨌던....Noto Sans 로 설정했을때와 Noto Sans CJK KR 로 설정했을때의 한글폰트가 제 컴퓨터에선 다르게 보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