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컴퓨터를 쓰면서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중 하나가 바로 압축관련 프로그램들일텐데요. 물론 리눅스에서도 이들 프로그램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직도 리눅스라고 하면 콘솔창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물론 가끔 콘솔창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만...보통은 콘솔창 없이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직접 보여드릴겸, 초보분들이나 리눅스에 입문하려는 분들을 위해서 이 포스트를 작성 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리눅스 쓰시는 분들은 대체적으로 아는 내용이지만 말이죠.





일단 rar 파일 하나를 리눅스에서 더블클릭해 봤습니다. 에러가 나면서 풀리질 않습니다.
이유는 우분투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7zip, rar 압축을 해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메뉴의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검색부분에 7zip 을 입력하면 7zip 프로그램을 찾아 줍니다. 그냥 설치해도 되지만 '정보 더 보기' 를 클릭해 보죠.




'정보 더 보기' 를 클릭한 다음 스크롤을 맨 아래까지 내려보면 위 스샷처럼 rar 을 해제할 수 있는 모듈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rar 압축해제를 원하시면 위 스샷처럼 체크 해주세요.



다시 스크롤을 맨 위로 올려서 '설치' 를 클릭해 주면 설치합니다. 당연하게도 사용자 암호를 물어보는 과정이 있습니다. 우분투 리눅스 쓰면 자주 만나게 되는 창이니 스샷은 생략합니다. ^^;




이제 다시 rar 파일을 더블클릭해 보면 압축파일이 제대로 열리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외에 다른방법이 하나 더 있습니다. 그건 직접 rar 을 설치하는 겁니다.


위 방법과 거의 같고요. 대신 검색창에 7zip 대신 rar 을 입력하면 rar 프로그램이 나옵니다. '정보 더 보기' 를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요.

이대로 '설치'를 눌러 설치하셔도 되지만....저 같은 경우는 rar 압축 해제 프로그램인 unrar 만 설치하면 되기때문에 위 스샷처럼 애드온에 체크를 해주고 '바뀐 내용 적용' 을 클릭해 unrar 만 설치 해 줬습니다.
맘에 드는 방법대로 설치 하면 되겠습니다.

위의 두가지 방법중 어떤 걸 써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제 경우는 압축파일을 다루는 프로그램중 몇몇이 unrar 을 요구 하기 때문에 후자의 방법을 선호하는데, 아마 두가지 다 설치해도 문제는 없을걸로 생각됩니다.



다음은 압축을 풀거나 압축을 하는 방법을 아주 간단히 스샷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물론 더블클릭해서 뜨는 프로그램에서 압축을 해제 해 줘도 되고요.


위 스샷처럼 압축파일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여기에 풀기' 를 선택 해주면 파일이 하나일땐 그냥 같은 디렉토리에, 2개 이상일 경우는 폴더를 생성해서 풀어줍니다. 윈도우에서 압축해제 하는것과 크게 다르지 않죠? ^^;


다음엔 압축하는 방법.....



압축할 파일을 선택하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압축...' 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창이 뜹니다. '만들기' 를 누르면 압축파일이 만들어 집니다. 기본은 .tar.gz 인데 다른걸로 바꿔주려면  .tar.gz 이라고 되어 있는 드롭박스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압축할 수 있는 파일 형식들이 표시됩니다. 기타옵션을 눌러보면 파일 분할도 가능하고요. 물론 그 파일형식이 분할압축을 지원해야 합니다.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압축파일이 만들어 집니다.



리눅스에서도 윈도우에서와 같이 압축파일을 간단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이 포함된 .zip 파일의 경우는 약간 신경써 줘야 합니다만....

영어 이외의 언어가 포함된 파일명의 파일이 있는 경우는 가급적 7zip 을 이용해 압축하면 리눅스에서 글자가 깨지는걸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7zip은 분할 압축도 지원하죠.
다른 모모 프로그램과는 달리 7zip 프로그램은 사용에 아무 제한이 없기 때문에 회사등에서 사용하는것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물론 광고 같은 것도 없고요.

7zip 윈도우용의 경우, 인터페이스가 이쁘지 않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탐색기 오른쪽 메뉴를 주로 이용하면 사실 프로그램 자체를 볼일도 별로 없고, 사용도 더 간편합니다.

말이 좀 옆길로 샜는데요. ^^; 어쨌던 필요하신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

넷북에 우분투 10.10 을 설치한지 좀 되었네요.
예전에는 grub 옵션을 손봐줘야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최근 커널업 이후로는 별다른 설정없이 잘 돌아 가고 있습니다.

최근 발생한 유일한 문제는 절전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것입니다. 절전모드로 들어가면 깨어나질 않습니다. 구글로 검색해 봐도 별다른 방법은 눈에 띄지 않는군요.
최대 절전모드는 잘 작동하기에 절전모드로의 진입하지 못하도록 설정해 주고, 절전으로 설정된 부분은 모두 최대절전모드로 설정해 줬습니다.

원래 절전기능이나 최대절전기능을 사용하지 않기에 이 문제를 우분투 설치하고 꽤 지난 지금까지도 모르고 있었네요.

그 와중에 몰랐던 사실을 하나 알게 되었는데 최대절전모드 사용시 스왑파티션을 쓰기 때문에 최대절전모드를 쓰려면 스왑파티션을 최소한 램크기보다 조금 더 크게 넉넉하게 잡아놓는게 좋다는것 입니다. 물리적 램의 1.5배 정도면 충분하다고 하더군요.

제 경우는 램2기가인데 스왑을 1기가를 잡아 놨었습니다. 사실 스왑은 요즘 웬만하면 많이 안잡아도 사용하는데 거의 지장이 없거든요.
이 경우에도 최대절전모드가 잘 작동하기는 했지만 그건 아마도 실제 물리적램을 1기가 이상 소비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던것 같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복귀가 안될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스왑파티션의 크기를 늘려줬는데요. 우분투 라이브 씨디로 부팅해서 Gparted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리눅스의 '/' 파티션 크기를 좀 줄이고, 이렇게 해서 생긴 용량으로 스왑파티션의 크기를 늘려줬습니다.

Gparted 는 처음 써 봤는데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쉽더군요. 쉽게 파티션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Gparted로 스왑파티션을 조정할때 먼저 스왑파티션에서 오른쪽 버튼으로 메뉴를 부른후에 swapoff 메뉴로 스왑을 해제한후에야 스왑파티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더군요. 나중에 swapon 을 다시 선택해 주시고요.

개인적으로 리눅스를 여태 써오면서 이해가 안가는것 중 하나가 바로 이 스왑파티션을 잡으라는것 입니다. 사실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리눅스도 스왑파티션을 잡지 않고 윈도우처럼 스왑을 파일로 만드는게 가능합니다.
물론 스왑파티션을 따로 잡는게 성능면에선 더 나을 수는 있겠지만 일반 사용자가 이럴 필요가 있을지....기본적으론 파일로 하고 필요한 사람들만 따로 스왑파티션을 이용하는게 더 낫다고 저는 생각합니다.(서버쪽만 스왑파티션을 적용한다던가....)

어쨌던....요즘 부팅속도와 종료속도가 빨라진 우분투이기 때문에 절전모드를 별로 쓸일이 없어 저로서는 큰 문제는 아니지만...어쨌던 안되니 아쉽네요. ^^;  최대절전기능이 잘 작동하는걸로 일단 만족해야 겠습니다.


반응형

우분투 리눅스의 10.10 버전이 나왔습니다. 나온지 좀 되었는데 오늘에서야 설치해 보았습니다.
일단 설치후에 큰 변화가 느껴질만한건 없습니다. 하지만 자잘한 변화점이 있더군요.


우선 위 스샷은 설치화면인데...아래쪽에 파일복사중 이라는 문구가 보이시죠. 예전에는 모든 설정을 다 설정해주고나서 파일 복사하고 설치했었는데 이번 버전에선 파티션등 기본적인 작업이 끝나면 그외 나머지 설정(시간설정, 사용자 암호설정등등) 을 하는 동안 파일을 미리 복사하기 시작합니다. 꽤 괜찮은 방법인것 같습니다.


설치중에 위와 같은 설명을 보여줍니다.
참고로, 위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라는 곳에 보시면 샷웰 사진 관리기 라는 프로그램이 보이는데요. 예전까진 그림, 사진등을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으로 F-Spot 이라는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설치되었지만 이번버전에선 바뀌었더군요. 개인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이라 성능이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이미지 편집등에 쓰이는 프로그램인 gimp 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사용하실 분은 우분투 설치후에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따로 설치해 주셔야 합니다.



설치후에는......


대략 이런모습입니다. 배경화면은 기본으로 들어있는 배경중 하나로 변경한것 입니다.

기존의 모습과 별로 다르지 않은 모습입니다.

설치후에 현재 2가지를 변경해 주었습니다.

1. 파폭에서 기본적으로 힌팅쪽이 좀 문제가 있어서 '/etc/fonts/conf.d' 에서 '29-language-selector-ko-kr.conf' 를 삭제해 주었습니다. 다른방법이 있기는 한데 이게 일단 제일 쉬운 방법인것 같더군요.

2. 프로그램 창의 최대, 최소, 프로그램 종료버튼들이 왼쪽에 있는데 이를 윈도우에서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시켰습니다. 방법은 ALT+F2 를 눌러 창이 뜨면 gconf-editor 를 입력해서 실행합니다.


위처럼 /apps/metacity/general 로 가서 위에 표시해 놓은것처럼 고치면 됩니다.



우분투에서 늘 발생하는 폰트의 힌팅에 관계된 문제는 이번에도 발생하는군요. 글쎄요. 뭐가 문제일까요. 초보자를 위해서라도 이런점은 가급적 빨리 고쳐지는게 좋을것 같은데 말이죠.

그 외에는 잠깐 사용해 본 바론 다른문제는 모르겠습니다. 포럼등을 보면 자잘한 문제를 겪는 분도 계시던데....
더 사용해 보고 문제가 보이면 추가해 놓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보통 우분투에서 프로그램 설치는 synaptic 에서 프로그램을 찾아서 설치해 주는게 보통이지만 구글의 크롬이라던가 오페라 같이 라이센스 문제로 기본우분투 패키지로 들어올수 없는 프로그램은 deb 파일을 직접 해당 웹사이트에서 다운받아 설치 해 주여야 합니다.

우분투 리눅스에서는 프로그램들을 deb 라는 데비안 리눅스가 쓰는 패키지 방식으로 관리 합니다. 패키지라는 개념은 특정 프로그램에 필요한 파일들을 하나로 압축해 놓은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 deb 파일을 "sudo dpkg -i xxxx.deb" 같은 방식으로 콘솔에서 입력해 주면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물론 콘솔을 쓰지 않고도 deb 파일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뭐...사실 너무 간단한거지만 왕초보분들을 위해 간단히 GUI 로 설치하는 방법을 적어볼까 합니다.



일단 오페라 웹브라우저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페라의 홈페이지 가서 다운로드를 선택하면....우분투로 들어가셨으면 알아서 우분투용 deb 파일을 잘 선택해 주므로 그냥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저는 바탕화면에 다운로드 했습니다.


이번에 새로 나온 리눅스용 오페라 10.11 입니다.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하거나 오른쪽 버튼을 누른후 위 스샷처럼 'GDebi 패키지 설치 프로그램에서 열기'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오른쪽 위의 '패키지 설치' 를 누릅니다. 그러면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묻는 창이 뜨는데 이때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입력해 줍니다.




자 ! 이제 설치하기 시작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상태 부분이 '같은버전이 이미 설치되어 있습니다.' 라고 나오고 오른쪽의 버튼도 '패키지 재 설치' 로 바뀌었죠.

개인적으론 이부분이 조금 아쉽다고 할까요. 주위깊게 보지 않으면 눈치채지 못할 수도 있고 잘 설치된건지 좀 의아할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어쨌던 저렇게 나오면 설치가 잘 된겁니다.

오페라의 경우는 일단 이렇게 패키지로 설치해 주면 오페라의 저장소를 자동으로 추가해 줘서 다음부터는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시 자동으로 업그레이드 해줍니다.(구글 크롬도 그렇습니다) 배포판 버전이 올라가기 전까지는요.



사실 매우 간단한 설치 작업입니다만...

이 글을 쓴 이유는......

터미널에서 deb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글이 많아서 터미널로밖에 설치할 수 없는 줄로 아는 분들을 위해...
deb 파일을 놓고 설치할 줄 모르는 분들을 위해....
리눅스에서도 패키지로 잘 묶어 놓으면 한방에 너무 쉽게 프로그램을 설치 할 수 있다는걸 알려드리기 위해....

.....서 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선 인기 없는 오페라 웹 브라우저 입니다만...꾸준히 업그레이드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10.11 로 업그레이드 되었는데....외관은 바뀐게 없는것 같습니다. 윈도우용 오페라는 인터페이스가 많이 바뀌었는데 리눅스에는 그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지 않고 있네요. 언젠가 하긴 하려나....개인적으론 바뀐 인터페이스가 딱히 더 맘에드는건 아닙니다만....



반응형


웨스턴 디지털 하드디스크 그린모델에 대한 이야기를 파코즈에서 보게 되었습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no=13920

그래서 저도 Load/Unload Cycle Count 를 확인해 봐야 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윈도우에는 CrystalDiskInfo 같은 프로그램을 써서 보면 됩니다. 그렇다면 리눅스에선?

우분투에서는 smartmontools 와 gsmartcontrol 패키지를 설치하면 하드디스크의 SMART 값을 볼 수 있습니다.

실행은 '프로그램 --> 시스템도구 --> GSmartControl' 입니다.


처음실행 하면 위에서 처럼 하드디스크들이 표시됩니다. 그럼 문제의 웬디 그린하드의 값을 살펴보죠. 보고싶은 하드디스크를 더블클릭하면 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두번째 탭인 Attributes 를 선택해서 해당 값을 확인해 보죠.




값을 확인해 보니 위 스샷에 빨간색으로 표시해 놓은것 처럼, Power Cycle Count(전원을 넣은 횟수) 와 Load/Unload Cycle 값의 차이가 크지 않은걸로 봐서 제 하드는 해당사항이 없는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안심이로군요. 휴~~~~~
Raw Read Error Rate 나 Reallocated Sector Count 도 '0' 이므로 하드 자체도 아무런 문제도 없고 말이죠. ^^;



각 항목 자체가 한글화 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어차피 용어특성상 한글로 바꾼다고 해도 영어를 한글발음으로 바꿔놓는 정도 밖에는 안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하드디스크가 사용한지 오래되었다거나, 컴퓨터를 오랫동안 계속 켜놓는 다거나, p2p 로 하드를 혹사 시키시는 분이라면 가끔은 상태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으니 한번 설치해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제가 최근 구입한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한 결과와 문제점 해결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다른 트리븐 e200노트북 사용자를 위한것이기도 하고 제 자신을 위한 기록이기도 합니다.

일단 놀랍게도 설치에 아무 문제도 없고 그래픽카드, 사운드 카드등등 거의 모든 장치가 아무런 조작없이 잘 잡힙니다.

TV아웃등은 잘 쓰지 않기에 잘 되는지 테스트 해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제가 사용하는 환경에서 문제가 있었던것 몇가지만 적어보고 차후에 또 발견되면 그때 그때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문제는 LCD의 백라이트 조정키가 작동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백라이트의 경우 xbacklight 패키지를 설치해서 조정하면 됩니다. 문제는 매번 부팅시마다 설정해줘야 하기때문에 거기에 대한 설정을 해 줘야 한다는 거겠죠.
일단 xbacklight의 설정은 'xbacklight -set 20' 이런식으로 하면 됩니다. set 뒤의 숫자를 조절하면 되고 현재 설정값을 알고 싶으면 'xbacklight -get' 하면 됩니다.

더 쉬운 방법은 Gnome의 애플릿중 '밝기 애플릿' 이라는게 있더군요. 노트북의 LCD를 조정할 수 있는 애플릿 입니다. 추가한후 클릭하면 볼륨 조정기 같은것이 보여서 조정할 수 있고, 그냥 아이콘에서 휠을 움직여도 밝기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건 Gnome 만의 해결법이 되겠군요

두번쨰는 사운드 카드입니다. 소리는 잘 나지만 문제는 이어폰을 꽂아도 스피커와 이어폰 모두에서 소리가 난다는 것 입니다. 이것을 해결하려면 콘솔을 써야 합니다.
우선 터미널을 엽니다. 그런다음 다음과 같이 하세요.

cd /etc/modprobe.d
sudo vi alsa-base

그러면 alsa-base 파일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vi가 익숙치 않으시면 sudo gedit alsa-base 와 같이 해도 됩니다.
그리고 파일의 맨 마지막 부분이 다음 문장을 추가 합니다.
options snd-hda-intel model=acer
일단 저렇게 하면 완벽하지는 않지만 헤드폰과 스피커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제 트레이에 있는 그놈의 믹서에서 Front 라고 되어 있는것이 헤드폰의 믹서이고 Surround 라고 되어있는 것이 스피커의 믹서가 됩니다. 즉 스피커를 끄고 싶으면 Surround를 Mute 시키면 되고, 헤드폰 소리를 끄고 싶으면 믹서의 Front를 Mute시키면 된다는 것입니다.
만일 그놈의 믹서에서 Front와 surround 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 메뉴의  '편집->기본설정' 을 선택하면 표시할 트랙 설정 이라는 창이 뜨는데 여기서 front와 Surround 를 첵크해 주시면 됩니다.

이 방법은 아마도 완전한 방법은 아닐걸로 추측됩니다만 일단은 쓰는데는 지장이 없으므로 그냥 일단 쓰고 있습니다. 더 좋은 설정을 알고 계시면 저한테도 알려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무선랜인데....일단 기본으로 설정 다 됩니다. 암호화가 되지 않은 AP가 있다면 기본 network-manager로 아주 쉽게 연결되는데 문제는 설정이 좀 다르거나 암호화 되었을 경우 입니다.

저 같은 경우 hidden ssid에 wpa-psk로 암호화 해 놓았고 dhcp도 꺼 놨기 때문에 설정이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일단 기본 network-manager로 잘 연결되시면 당연히 그냥 잘 쓰시면 되고 저 같이 어려움을 겪으시는 경우에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못되겠지만 제가 사용한 방법을 적어볼까 힙니다.

제 경우는 wicd 를 설치해서 해결 했습니다. wicd를 패키지로 설치할 경우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network-manager는 제거가 됩니다. wicd는 http://wicd.sourceforge.net/ 서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이렇게 설정한 이후라도 hidden ssid 의 경우 문제가 있더군요. 부팅후 자동으로 연결이 안됩니다. 부팅후 네트워크->숨겨진 네트워크 에서 ssid를 직접 입력한후에 무선랜 리스트에 자신의 ssid를 단 ap가 나타나면 직접 '연결' 을 눌러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아직 이건 해결 못했습니다.

일단 제가 발견한건 여기 까지 입니다. 더 쓰다보면 다른 문제가 발생할지도 모르겠지만 아직까지 다른문제는 없습니다,

트리븐 e200사용자가 리눅스를 설치하신다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