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에서 최근 사용해본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중 가장 맘에들고 쓰기 쉬웠던 핸드브레이크의 설치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핸드브레이크는 우분투 14.04에 들어와서 기본저장소에 포함되었습니다.


다만 우분투 저장소에 있는 버전은 많은 기능이 빠져있는 버전입니다. 물론 간단히 사용하기에는 큰 문제는 없지만 aac 코덱의 제한성과 mkv 로만 동영상을 만들수 있다는 점이 가장 신경쓰이는 부분입니다.


모든 기능을 다 쓸수 있는 버전은 핸드브레이크의 nightly build 버전을 설치해서 쓰시면 됩니다. 다만 안정버전이 아닌 개발버전이기에 다소 불안하거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어느정도 있습니다.


https://launchpad.net/~stebbins/+archive/handbrake-snapshots


위 링크가 바로 핸드브레이크의 ppa 주소 입니다. ppa 를 추가하는 방법은 일단 터미널을 여시고....


sudo add-apt-repository ppa:stebbins/handbrake-snapshots


을 입력하면 ppa 가 추가 됩니다.


제 경우는 이후에 synaptic 으로 설치했습니다.




왼쪽 위의 새로고침을 하고 hanbrake 로 검색을 해보면 위와 같이 나옵니다.


위에 보면 연두색으로 표시되어 있는것이 바로 기능 제한이 있는 우분투 저장소의 hanbrake 입니다. 그 아래에 빨간색 테두리로 표시한 handbrake-gtk 라고 표시되 있는것이 ppa 추가후 보이는 프로그램입니다. 이것을 설치하셔야 됩니다.



그냥 터미널에서 설치하려면 ppa 추가 후에...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handbrake-gtk


라고 해주면 아마 될겁니다. ^^;


그리고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ppa 버전의 hanbrake 를 설치시 우분투버전의 hanbrake 가 설치되어 있었다면 이것은 삭제됩니다.




우분투패키지에 포함된 버전을 실행해보고 mp4 를 만들 수 없다는걸 알게 되어서 다른 설치 방법을 알아 보게 되었습니다.

13.10 때는 getdeb 버전을 썼었는데 getdeb 버전은 mp4 파일 생성이 가능했습니다. 다만 우분투 기본패키지에 hanbrake 가 포함된 탓인지 getdeb 에 14.04 버전용 hanbrake 는 추가되지 않고 있더군요.

nightly build 버전은 아무래도 unstable 버전이기 때문에 사용상 약간의 문제는 발생할 수 있지만, 버전 특성상 큰 문제라면 금방 수정되어 올라올것 입니다.

아무래도 기능이 좀 더 추가되어있는 버전이 나을것 같아서 포스팅 합니다. 우분투 리눅스에서 동영상 인코딩 하실 분들에게 도움이 되실 바랍니다.





반응형



우분투 14.04 가 나왔습니다. KDE 를 쓰는 입장에서 겉으로 보기에 크게 달라진점은 없습니다. 새로설치가 아니라 업그레이드 한거라 그런건지도 모르겠지만요.




유니티나 Gnome 에선 한글키 적용문제가 여전히 있는것 같습니다. 그외에도 자잘한 문제가 있는듯 한데...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9&t=26130 에 가셔서 이슈를 보시면 되겠고요.

한글키의 적용은 http://nemonein.egloos.com/viewer/5227053 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제 경우는 업그레이드라 그런지, kde 라 그런지 한글키 적용도 dconf-editor 를 이용하지 않아도 문제는 없고 큰 한글 이슈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단, 한가지. 윈도우에 있는 Gulim 글꼴이 웹페이지에서 표시되는 경우 좀 보기가 않좋게 나옵니다. 리눅스에선 당연히 윈도우의 굴림 글꼴이 없으니 다른 글꼴로 대신 보여줄텐데....뭔가 예전과 설정이 바뀐듯 합니다. 일단 보기 안좋아서 윈도우에서 gulim 글꼴을 가져와 복사해서 제대로 나오게 해놨습니다.(바람직한 방법은 아니지만 귀찮아서....ㅡㅡ; 사실 이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긴 하죠. 실제 글꼴을 넣어주는거....) 이미 굴림 글꼴은 구시대 유물이니 별 상관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제 블로그 스킨이 좀 오래된거라 굴림글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시간날때 기본글꼴을 바꿔줘야 하긴 하겠는데...블로그의 글꼴설정이 스킨 어디에 있는건지...나중에 시간날때 천천히 찾아내서 고쳐 볼 생각이지만 기약은 없습니다. ㅡㅡ;




아참...그리고 제가 애용하던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인 핸드브레이크(Handbrake)가 우분투 기본패키지로 영입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포스팅 하려고 getdeb 이야기를 썼었는데 나중에 포스팅 할때는 그 부분을 수정해야 겠군요. ^^; 제가 써보니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이라 추천합니다. 동영상 인코딩 할 일이 있으신 분들은 한번 써보시길 권합니다.




제가 쓰는 kde 의 경우 처음 부팅시 스플래시 화면에 데비안 마크가 뜨더군요. 음....kde 는 신경을 안쓴건지...나름 신경을 쓴건지.....??? 기존 스플래시 화면보단 보기는 좋습니다만....

그외에는....당연히 커널은 3.13 으로 올라갔고.....나머지는 딱히 생각나는게 없네요. 아이콘 몇개가 좀 바뀌었다는 정도.....?




우분투가 계속 버전업 되면서 한글관련 문제는 없어지지를 않는군요...입력기 문제도 그렇고....해결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한글의 윗부분이 짤리는 문제라던가....제 경우는 kde 라 그런지 아니면 업그레이드 해서 그런건지 아무런 문제가 없긴 한데...좀...그렇군요.

Unity Dash 에서 한글이 깨지는 문제는 좀 이건 아니다 싶습니다. 무슨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미 UTF-8 을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에서 특정 국가의 글자가 '????' 로 나오다니....이런건 예전 과도기때나 보던건데....베타때부터 그랬다는 이야기도 있고.... 저야 Unity 를 안쓰니 이 글을 쓰는 지금 현재는 수정되었는지 알길은 없고, 수정되긴 할거라고 생각하지만.......ㅡㅡ;




반응형



요즘 음악을 전문적으로 스트리밍하는 서비스가 여러곳 있습니다. 유튜브에서도 음악을 들을 수 있고요. 이러한 음악/동영상을 다운로드 해주는 프로그램들이 있기는 한데 각 사이트들도 저작권등의 이유로 그러한 프로그램들을 사용할 수 없도록 이런저런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 말고 좀 더 원초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예전에 라디오에서 나오는 음악을 녹음했던것 처럼 녹음을 하는거죠. 물론 그렇다고 녹음기를 들고 직접 녹음 하는건 아니고....프로그램을 이용하는것 입니다.
이 방법은 아무래도 디지털 데이터를 바로 저장하는 것보단 음질이 떨어질 수는 있지만 일단 컴퓨터에서 재생되는 어떠한 음악이라도 녹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가지 단점은 조금 손이가고 귀찮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녹음한 음악은 개인적 목적으로 쓴다면....큰 문제는 없을걸로 봅니다.


"어디어디서 그냥 mp3 로 받으면 됨" 같은건 이 포스팅에선 논외니까 말하지 말도록 합시다. ^^;



제가 사용한 방법은 audacity 와 pavucontrol 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pavucontrol 은 펄스오디오 관련 프로그램이고요.
audacity 는 사운드 녹음/편집 프로그램입니다. audacity 말고 다른 녹음 프로그램을 써도 되지만 이 프로그램은 편집도 가능하고...사실 이 방법 자체를 audacity wiki 에서 보았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을 사용했습니다.

두 프로그램은 모두 우분투 저장소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마 다른 리눅스도 기본 저장소에 대부분 포함되어 있을 걸로 생각합니다.




pavucontrol 을 실행합니다. 중요한건 recording 탭입니다. 아직은 아무것도 안보입니다. 아직은 안보이는 게 정상입니다.





audacity 를 실행합니다. 조금 설정을 해 줘야 하는데요. 사각형 부분입니다. audacity 위키에서 보니 이부분을 pulse 로 바꿔 주라고 하는데 저는 그냥 'pulse' 라고 된게 없더군요. 그래서 저걸로 설정하고 테스트 해 봤더니 저는 잘 되었습니다. 아무튼 pulse 관련 된것중에 잘 선택해 보시길 바랍니다.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합니다. 저 원으로 표시한 마이크를 한번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pavucontrol 프로그램에 변화가 생깁니다.




아까는 아무것도 없었는데 이런게 생겼습니다. 'Monitor of ~~~~' 로 시작하는것 중 잘 알아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대충 보면 위에건 HDMI 출력인것 같으니 전 밑에걸로 했습니다.





녹음버튼을 누른후에 음악을 재생시켜 봅니다. 사각형으로 표시된 레벨미터가 음악에 따라 움직이고 저렇게 소리의 파형이 보이면 설정이 잘 된것이고, 녹음도 잘 되는것입니다.





pavucontrol 프로그램에서도 화살표로 표시한 곳이 음악에 따라 움직임니다.





음악이 끝나서 중지버튼을 누르고 맨 앞으로 이동하였습니다. 녹음버튼을 먼저 누르고 음악을 재생했기 때문에 앞부분에 저렇게 음악이 없는 부분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마우스로 드래그 해서 영역을 위와 같이 설정해 주고 동그라미로 표시한 가위 버튼을 눌러주면 저 선택 부분이 삭제 됩니다.

왼쪽의 사각형 표시는 볼륨을 조정해 주는 부분입니다. 녹음된 소리가 작으면 조금 키워 줍니다.





이제 저장을 해야죠. 내보내기 선택.





어떤 파일로 설정할지 선택하고 옵션도 설정해 줍니다. 저는 mp3 로의 저장을 선택하였고 옵션은 192k 스테레오로 설정했습니다. 

저장할 파일명을 적어줄땐 반드시 확장자까지 써 주시길 바랍니다. 'xxxx.mp3' 이런식으로요. 확장자를 안적으면 경고를 해주긴 합니다만....




저장을 누르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ID 태그를 넣는것 입니다. 당연히 나중에 설정하셔도 됩니다.





내보내기 중 입니다. 노래 한곡 정도라면 금방 변환됩니다.




녹음해서 들어보니 제 막귀로는 들을만 하더군요.


집에서는 그냥 스트리밍으로 듣지만 밖에서는 들을 수 없어서 이리저리 생각해 보다가 가장 간단한(?) 방법을 찾아 보았습니다. 예전에 카세트 녹음기로 라디오에서 녹음할때 보다야 훨씬 편합니다. 예전엔 좋아하는 노래가 나오길 기다리다가 녹음버튼 누르고 타이밍 맞춰 멈추고 그랬었는데 ...^^; 


요즘에 그냥 구하면 구할수도 있는 세상이긴 한데...전 그냥 이게 편하군요. ^^;




반응형



우분투 리눅스에서는 openjdk 를 패키지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오라클의 자바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기도 합니다.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안드로이드 sdk 설치시 오라클 자바를 설치하라고 하기도 했었습니다.

참고로 오라클의 자바가 우분투 기본패키지로 들어 오지 못하는 것은 오라클의 라이센스 정책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시는 분은 다 아시는 web upd8 이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곳에는 우분투 리눅스에 대한 소식 정보등도 제공하고 있지만 여러 프로그램에 대한 ppa 도 제공 하고 있습니다.

그 ppa 중 자바 ppa 가 있습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7-installer


위의 세 문장을 터미널에서 차례로 입력해 주면 자바가 설치 됩니다. 설치중에 라이센스 관련 뭐를 물어보는데 그냥 적당히 선택해 주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webupd8.org/2012/01/install-oracle-java-jdk-7-in-ubuntu-via.html 를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말씀 드리면....위에서 이야기 했다시피 라이센스 문제로 자바 자체를 패키지로 만들어 배포할 수 는 없습니다. 이 패키지는 플래시 설치와 같이 오라클에서 자바 JDK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주고 환경변수를 셋팅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유용한 ppa 들도 있으니 필요한 프로그램이 없는지 한번 살펴보세요. 


2014 년 3월 20일 추가 내용

 

자바 8 stable 버전이 나왔습니다.

위 자바 설치 3문장중 마지막에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installer


라고 입력하면 자바 8 버전이 설치됩니다.



반응형



휴일이라 우분투를 가지고 놀던 도중 Gnome 3 로 부팅했습니다.

그랬더니 여전히 뭔가 문제가....


예전에 Gnome 3 로 부팅했더니 가끔 메뉴가 안나온다던가 하는 이상한 문제가 생기더군요. 처음에는 우분투 Gnome 3 의 버그인가 싶었었는데 배포판이 바뀌어도 계속 그러는거 보곤 뭔가 설정이 꼬였나 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Gnome 3  안쓰니 그냥 두다가 문득 생각나서 한번 검색...


자신의 홈페이지 에서 '.config/dconf' 디렉토리에 가보면 user 란 파일이 있는데 삭제하고 재부팅 해주면 Gnome 3 의 상태가 초기화 됩니다. 

저는 user.xxxxxxxx(xx는 그냥 대충 쓴거고...) 이런식의 파일이 하나 더 있었는데 상관없나봅니다. 백업파일이었는지....혹시 몰라서 다른곳으로 파일을 이동해 놨었는데 별일없더군요. 나중에 삭제해 줬습니다.


Gnome 3 는 확실히 좀 불친절한 느낌이랄까....super + m 이던가...눌러야 트레이 아이콘을 볼 수 있고....나중에 좀 더 써볼 생각입니다.

ibus 설정이 통합되어 있는건 별로 맘에 안들더군요. Gnome 3 실행했다가 다시 KDE 로 돌아오니 단축키 설정이 Gnome 3 의 기본설정으로 바뀌어 버리는 일이..... ㅡㅡ; 최근에는 lubuntu 로 설치했기 때문에 별로 볼일이 없었는데.....ibus 가 버그가 아예없는 입력기라면 모를까.....한글키 설정이 안되는 문제도 그렇고....참.....fcitx 는 기본으로 한글키가 설정되어 있더만.....




반응형





결국 kde 를 설치했습니다. 왠만한 데스크탑 환경을 다 설치해 놓은듯 하군요. 14.04 때는 포맷 하고 다시 설치해야 하나 싶지만 아마 별문제 없으면 귀찮아서 그냥 쓸듯 합니다. ^^;

일단 스샷....



월페이퍼는 기본 월페이퍼인데 솔직히 그닥 맘에는 안드네요. 좀 멋진걸로 만들어주지.....






오른쪽 시간을 클릭하면 조그마한 달력이 뜨는데 휴일이 언제인지를 표시해 줍니다. 우리나라 설날도 표시되는군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거 스샷 찍어놓은게 1월 26일 입니다. ㅎㅎ 이런저런 일 때문에 이제야 올리게 되었네요. 쩝.....




예전엔 이렇게 kde 설치해 놓으면 kubuntu 씨디로 설치한것과 좀 묘하게 차이가 있기도 하고 그랬는데 지금도 그런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일단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프로그램도 kde 용으로 잘 실행 되고 있고, 무선랜 부분도 문제 없네요. kwallet 은 어떻게 되려나 싶었는데 일단 다른 데스크탑 환경 설치후 kubuntu-desktop 으로 설치한 경우는 일단 처음부터 활성화 되지는 않는듯 하네요. 




위 스샷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프로그램인 muon 입니다. 업데이트 되는 동안 터미널에서 무슨 명령어를 실행하나 확인하고 했던 저로선, gnome 의 업데이트 프로그램과는 달리 업데이트되는 내용을 볼 수 있는 터미널 확인창이 없어서 좀 심심합니다.

위에 보면 한글로 번역이 안된 메시지도 좀 있는데....아무래도 kde 사용자가 많지 않은 탓이겠지요.




좀 황당했던건 와이파이 상태/설정을 할 수 있는 아이콘이 시스템 트레이에 보이지 않는다는 건데, 검색해 보니 그냥 안보이게 되어 있던 것 뿐이더군요. 왜 기본 설정이 안보이게 되어 있는것인지 모르겠네요. 음...?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이 없는 빈곳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른후 시스템 트레이 설정으로 들어가서 network management 를 체크해 주면 해당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kde 의 텍스트 에디터인 kate 를 쓰다보니 종종 한글입력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되더군요.(예전에도 이래저래 한글입력기는 문제가 있었었죠) 그래서 어쩔까 고민끝에 한글 입력기를 변경해 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말로만 듣던 fcitx 로 바꿔 봤었습니다. 패키지는 fcitx 와 fcitx-hangul 두개만 선택해서 설치해 주면 나머지 필요한건 알아서 설치해 줍니다만....쓰다보니 같은 문제가 발생하더군요. ㅡㅡ;
고민끝에 다시 nabi 로 바꿔줬는데 문제 없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예전에 qt 프로그램의 입력방식을 xim 으로 바꿔서 해결했던것 같기도 한데...(오래되서 가물가물) 귀찮아서 그냥 나비 입력기로 변경....그냥 이걸로 해결되었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ㅜ.ㅜ

우분투와 루분투에선 입력기 변경설정이 언어설정에 있었던것 같은데 kde 는 어디있는건지 모르겠네요. 예전엔 있었던것 같은데....
그래서 그냥 콘솔에서 "im-config" 를 입력해서 입력기를 바꿔 줬습니다. im-config 를 실행하고 입력기 설정을 하겠다고 "Y" 를 선택, 그 후 나오는 여러 입력기중 "hangul" 을 선택해주면 nabi 로 설정 됩니다. X 를 재시작 하라는데 그냥 리부팅 해 줬습니다. 재부팅후에는 nabi 가 트레이에 잘 떠있더군요. ^^;
단지....제 경우는 fcitx 로 바꿨다가 다시 nabi 로 해줬는데, 나비로 설정후에도 fcitx 설정 아이콘이 트레이에 계속 뜨기에 fcitx 를 삭제해서 해결했습니다.

여러번 제 블로그에서 말하는 겁니다만...리눅스에서 제일 문제는 한글입력기 입니다. 우분투 기본 입력기인 ibus 에서의 한글입력 버그도 여전하고....최근에는 '한글' 키로 설정하는것도 기본적으론 안되어서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만 하고....우리나라 사용자들이 적어서 그런것도 있긴 하겠지만....나비 한글 입력기가 계속 개발되고 있다는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ㅡㅡ;

여담이지만.....
나비 한글 입력기 설정후에 /etc/X11/xinit/xinput.d/nabi 파일의 내용을 보니 GTK_IM_MODULE=xim 라인은 있는데 QT_IM_MODULE=xim 라인은 없어서...응? qt 프로그램 한글입력은 잘되는데...? 이제 설정이 필요없나? 하다가 혹시나 싶어서 콘솔에서 'env' 를 실행해 봤더니 'QT4_IM_MODULE=xim' 라는 설정이 보이네요. nabi 설정파일이 아닌 어디 다른곳에서 설정되어 있는듯.......저 설정은 어디에 되어 있는걸까요? 음....




개인적으론 역시 kde 쪽이 무난히 쓰기엔 젤 좋은듯 합니다. 일반 사용자에겐 이쪽이 더 일반적인 인터페이스이기도 하고....
gwenview, amarok, kate 같은 프로그램들은 kde 를 쓰지 않아도 한번 써봄직한 프로그램들 입니다.(amarok 같은 프로그램은 취향을 좀 타긴 하지만....) kde 라이브러리를 좀 많이 설치하긴 하지만요. ^^;


ps >

나비 한글 입력기의 경우 파이어폭스에서 드롭다운 메뉴가 나타나지 않는 버그가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파이어폭스를 쓰시는 분들은 나비 입력기를 사용하시기가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제 경우 파이어폭스를 사용하기에 일단 ibus 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qtconfig-qt4(qt4 settings) 프로그램에서 일단 입력방식을 xim 으로 되어 있는 것을  ibus 로 변경해 주긴 했는데 이걸로 qt 입력문제가 해결될지는 알수 없군요.(그냥 생각나서 한번 혹시나 하고 변경해 봤습니다. ㅡㅡ;)  






반응형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쓰다가 절전기능이 안된다고 해서 amd 의 드라이버를 직접 설치해서 사용한지 좀 된거 같은데요.


간단히 말하자면 쓸만합니다. 별다른 다운현상이나 문제를 겪어 보지 못했습니다.


3d 성능에 대해선 테스트 해보지 못해서 뭐라 말할 수 없지만 시스템 안정성에 대해선 최소한 충분히 쓸만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amd 드라이버보단 훨 낫습니다. 


3d 성능이나 절전기능이 아쉬운 분들은 직접 받아서 컴파일해서 사용해 보세요. 설치는 deb 파일 만들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설치하시고요.



반응형



이 내용을 포스팅 한 걸로 기억하고 있었는데....ㅡㅡ;  오늘 파일정리 하다보니 스샷이 나오길래 간단히 포스팅 합니다.


최근 오페라 웹브라우저를 설치했더니 오페라 웹브라우저를 기본 브라우저로 띄우길래 변경 방법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위 스샷에 있는것처럼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x-www-browser" 를 콘솔에서 실행하면 위와 같은 메뉴가 나오고 여기서 기본 웹브라우저로 사용할 브라우저를 선택하면 됩니다.

전 파이어폭스를 기본 웹브라우저로 사용하니 2번을 선택했습니다. 각자 취향대로.....^^;


스샷의 정보를 조금 추적해 보면 /usr/bin/x-www-browser 는 /etc/alternatives/x-www-browser 로 심볼릭링크가 되어 있고 저 심볼릭링크를 따라가 보면 해당 웹브라우저의 실행파일로 또다시 심볼릭링크가 걸려있습니다. 그냥 그런구조로 되어 있다는 겁니다. ^^;


다른 방법이 있을것도 같은데....여러 데스크탑 환경을 옮겨다니는 저로선 이런 방법이 제일 확실하기 때문에.....



반응형



오늘 소개할 리눅스 프로그램은 trash-cli 라는 프로그램입니다. 대략 프로그램 이름으로 눈치채실 분도 계시겠지만 휴지통을 콘솔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입니다.

요즘 대부분 데스크탑 환경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관리자들은 파일을 지울때 휴지통을 이용합니다. 실수로 지운 프로그램을 되살릴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콘솔의 "rm" 명령은 휴지통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실수로 파일을 지우면 난감하죠. 이 프로그램으로 파일을 지우면 휴지통을 이용하기 때문에 콘솔에서 파일을 실수로 지워도 언제든 되살릴수 있습니다.




설치는 synaptic 에서 trash-cli 를 설치하거나 콘솔에서 "sudo apt-get install trash-cli" 를 입력하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를 간단히 소개하면....

1. trash 와 trash-put 은 파일을 휴지통에 넣습니다. "trash a.txt b.txt" 이런식으로 여러 파일을 동시 삭제도 가능합니다.

2. trash-list 는 말 그대로 현재 휴지통에 들어있는 파일 내용을 보여줍니다.

3. restore-trash 는 현재 휴지통에 들어있는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주는데 앞에 숫자가 붙어 표시됩니다. 그리고 복구하고 싶은 파일의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파일이 원래대로 복구됩니다.



4. trash-empty 는 말 그대로 휴지통을 비웁니다.




예전부터 리눅스를 사용해 온 저로서는 콘솔로 작업하는게 더 편하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예전부터 콘솔로 작업하던게 손에 익어서 그렇겠지요. 콘솔의 파일삭제 명령인 rm 은 잘못해서 중요파일을 삭제하면 시스템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 최악의 경우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면에선 trash-cli 는 유용한 패키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alias 를 이용해서 rm 명령을 쓰면 trash 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있긴 하던데...개인적으론 이런 방법을 별로 선호하지 않아서....별다른 이유는 없습니다. 그냥 제 취향일 뿐이죠. ^^;

시냅틱에서 패키지 내용을 좀 보니 파이썬 2.x 대 버전을 이용한 프로그램이던데....파이썬 3 는 아직도 정착하지 못하고 있는건지....




반응형

 
 
여러차례 제 블로그에 적은 적이 있지만 사실 전 개인적으로 GTK 보다 Qt 를, Gnome 보다 KDE 를 더 좋아합니다. 
그럼에도 KDE 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우분투의 KDE 는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어떤지 몰라도 우분투의 KDE 는 불안하고, 사용도 좀 불편한 면이 있었습니다. 
KDE 데스크탑으로 가장 맘에 들었던 배포판은 오픈수세(opensuse) 였습니다. 
 
하지만 이래저래 여러 이유로 우분투가 대세가 되다보니 이런저런 어플들이 우분투를 기본으로 설명하거나 배포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물론 다른 배포판이라고 설치를 못하는건 아니지만....) 그래서 현재는 그냥 우분투를 쓰고 있지만 데스크탑 환경은 결국 유니티 대신 제일 간단한 루분투를 쓰게 되었습니다.



텍스트 에디터로 kate, 이미지 뷰어로는 gwenview 를 쓰고 싶어서 설치를 해 봤는데 기본으로 설정된 폰트들이 맘에 안들더군요. 힌팅도 좀 이상하고....그래서 변경하려고 했더니 변경프로그램이 없어서....검색해보니...systemsettings 를 synaptic 에서 설치하라고 하더군요.
프로그램 이름은 systemsettings 지만 이 프로그램은 KDE 환경의 설정 프로그램입니다. 설치후 폰트부분에서 이런저런 설정을 변경해 주면 됩니다. 변경방법은 따로 설명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이런류의 설정 프로그램을 써 보신분이라면 쉽게 설정하실 수 있을 겁니다.


아! 참고로 제가 루분투를 써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메뉴에서 프로그램을 찾아서 실행하면 왜인지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더군요. 터미널을 열거나 Alt+F2 를 눌러서 systemsettings 를 직접 입력해서 실행하면 잘 실행되었습니다.
 
한가지 더 덧붙이자면, KDE 프로그램 설치하면 메뉴가 영문으로 나올텐데요. kde-l10n-ko 패키지를 설치해 주면 메뉴가 한글로 나옵니다. language-pack-kde-ko 란 패키지도 있는데 제 경우는 kde-l10n-ko 만으로도(설명에 보면 kde core application 번역이라고 나옵니다) 한글로 나오더군요.



개인적으로 GTK 쪽 환경을 쓰면서 KDE 어플을 쓰는건 별로 선호하지는 않습니다. 일단 아무래도 약간은 이질감이 느껴지기도 하고요. 테마를 비슷하게 맞춰주는 방법도 있긴한데....귀찮기도 하고....우선은 KDE 라이브러리를 다량으로 설치해야 한다는게 좀 그렇기도 하고...사실 지금은 특별히 신경쓸일도 아닌데 예전에 하드 용량 작을때 생긴 나쁜(?) 버릇의 일종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던 KDE 어플들의 폰트등의 설정은 따로 해줘야 합니다. 데스크탑 환경이 다양하다는건 분명 좋은점이기도 하지만 각각 데스크탑 환경에 종속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설정은 따로 해줘야 한다는건 단점일 수도 있지요. KDE 어플 쓰시려면 알아두셔야 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