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전에 이와 같은 주제로 몇번 포스팅 한적이 있습니다. 마운트 옵션을 수정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다만 이렇게 해도 윈도우 파티션을 쓰기가 불가능 한 경우가 있는데요. 윈도우에서 '빠른시작' 기능이 켜져 있는 경우 입니다.

다만 제 경우는 '빠른시작'을 꺼줬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쓰기가 불가능 했습니다. 이번에는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포스팅 할까 합니다.


제 경우는 Disks(디스크)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아마 Gnome 환경에서는 미리 설치되어 있을 겁니다. 최근 제가 쓰는 주분투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데 gnome-disk-utility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

윗부분처럼 파티션들이 보이는데 마운트 하기 원하는 파티션을 선택하면 그 파티션이 위의 스샷처럼 파랗게 표시가 됩니다. 그러면 톱니바퀴모양의 버튼을 누르고 메뉴에서 '마운트 옵션 편집...'을 선택해 줍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표시해둔 부분입니다.

uid 값은 /etc/passwd 파일에서 자신의 우분투 로그인 아이디를 찾으면 됩니다. 우분투에서는 계정을 하나만 만들었다면 보통 1000 번입니다만 한번쯤 확인해 보세요.

'remove_hiberfile'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이 글의 핵심입니다. 이 옵션은 hiberation 관련파일을 정리하고 쓰기 가능하게 마운트 시켜준다고 합니다.

hiberation 관련 파일을 정리하는 것이기에 주의가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는 합니다만, 솔직히 내부적으로 어떤 작업을 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저도 정확히 뭐라고 확답은 못드리겠네요. 혹시 알게 되면 나중에 추가 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어쨌던 위와 같이 작업을 하시면 쓰기 가능하게 윈도우 파티션을 마운트 할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



우분투에선 윈도우 파티션을 보여주긴 하지만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운트 시켜놓진 않습니다. 물론 노틸러스나 다른 파일관리자에서 해당 파티션을 클릭해 주면 그때는 마운트 시켜주긴 합니다만....저 같은 경우 드롭박스 디렉토리를 윈도우쪽 파티션을 사용할 생각이므로 리눅스 부팅이후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윈도우 파티션이 마운트 되어 있어야 했습니다.

이 작업은 /etc/fstab 에 직접 설정해 주면 되긴 하는데 자주하는 작업이 아니다 보니 할때마다 검색을 해야 했었습니다. 그런데 gui 툴로도 설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군요. 그래서 이번엔 그에 대해 적어볼까 합니다.

제 루분투에선 시작메뉴의 '기본설정 -> 디스크' 를 실행하면 됩니다. 그러면 현재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설정해줄 윈도우 파티션을 클릭해서 선택해 주고 그 아랫쪽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메뉴가 뜨는데 괜히 포맷 같은 메뉴를 선택하지 마시고.....^^;  '마운트 옵션 편집...'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중요한 부분은 빨간색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입니다.




표시이름은 파일관리자에서 보이는 이름이니 적당한걸로 바꿔주시고요. 마운트 지점은 특별히 안바꿔줘도 상관은 없습니다. 좀더 보기좋게 바꿔준것 뿐입니다. 터미널에서 직접 타이핑할때 조금 더 편할 수도 있겠고요.

uid 설정부분은 ntfs 파티션에서 파일 삭제시 휴지통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우분투에서 기본 생성한 유저의 uid 는 1000 인데 이후에 추가로 유저를 만들었다거나 한다면 자신의 계정에 맞게 설정해 줘야 합니다.(보통은 uid=1000 옵션이면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uid 를 직접확인하고 싶다면 '/etc/passwd' 파일에서 자신의 사용자 이름으로 검색해 봐도 uid 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discard 와 noatime 은 원래 ssd 사용시에 trim 을 위해 보통 해주는 옵션인데 ntfs 에도 적용되는지는 솔직히 모르겠지만 그냥 써 줬습니다. 검색해봐도 잘 모르겠고, 요즘 최신 커널은 위 옵션을 주지 않아도 ssd 사용시 trim 을 해 준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설정하는 김에 그냥 써 줬습니다.

다 설정해 주셨으면 어차피 컴퓨터 처음 켰을때 파티션이 자동으로 마운트 되느냐를 봐야 하니 재부팅 해 주세요. 그리고 설정을 재대로 하셨으면 파일관리자에서 처음부터 마운트 되어 있는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스샷의 표시 보이시죠? 처음부터 저렇게 마운트가 되어 있습니다.




원래 넷북에서 윈도우를 설치하지 않았었는데 이번에 필요에 따라 설치를 해 줬습니다. 물론 듀얼부팅으로 리눅스도 설치 해 줬고요.


리눅스와 윈도우를 같이 쓰게 되면 데이터는 윈도우 파티션에 저장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좀 있습니다. 윈도우에선 리눅스 파티션을 접근을 못하니까요.


개인적으론 초보분들을 위해 미리 처음부터 윈도우쪽 디스크를 마운트 시켜주는게 낫지 않나 싶긴 한데....이렇게 하는 이유가 모르긴 해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래도 GUI 설정 프로그램이 있으니 편하긴 하네요. 



반응형


우분투의 Gnome 의 경우는 별도의 관리자 인증 확인 없이 윈도우쪽 파티션을 마운트 해서 쓸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분투의 KDE 도 그랬지만 Sabayon 의 KDE 도 윈도우쪽 파티션을 쓰려면 관리자 인증을 요구하더군요. 아무래도 귀찮아서 fstab 에 설정을 해 줄까 하다가...그것도 귀찮아서(ㅡㅡ;) 그냥 관리자 비번 안물어 보는 방법을 찾아 봤습니다.



해당 정책을 바꿔주면 되는데 Sabayon 에서는....

/usr/share/polkit-1/actions/org.freedesktop.udisks.policy

이 파일을 수정해 주면 됩니다.



파일을 에디터로 열어서 위 스샷의 표시해 놓은곳을 스샷과 동일하게 "yes" 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그냥 fstab 에 추가해서 아예 처음 시작때부터 마운트 되어 있게 설정해주는게 더 편할지도 모르겠습니다만....제 경우는 딱히 그럴 필요도 없고해서....

여담입니다만....
오랫동안 우분투 써오다가 Sabayon 을 쓰니 root 로 로그인해서 처리하는게 오히려 낮설더군요. 최근엔 우분투 쓰면서  sudo 만 써와서 인지.....편한면도 있고 불편한면도 있고.....그러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