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get 은 microsoft 에서 관리하는 프로그램 저장소입니다. 윈도우 11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리눅스를 쓰시는 분들은 프로그램 설치할때 apt 나 pacman, dnf 같은 패키지 관리자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 winget 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윈도우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winget 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려면 powershell 이나 cmd 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설치하셔야 합니다. 저는 그냥 왠만하면 cmd 를 쓰는 편입니다.
나중에는 GUI 인터페이스가 나올지 모르겠지만 현재까지 공식적으로는 GUI 는 없고 cmd 를 열어서 직접 타이핑을 해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
winget list 를 입력해 보면 현재 설치된 프로그램들이 보입니다. winget 을 써본적이 없어도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이 보이실텐데요. winget 은 winget 으로 설치하지 않은, 사용자가 직접 다운받아 설치한 프로그램들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위에 보시면 맨 뒤 '원본' 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데 winget 이라고 되어 있으면 winget 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winget 에서 설치한 프로그램이 아니어도 저 부분에 winget 이라고 되어있으면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화면에 나온 firefox 와 Thunderbird 는 제가 직접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설치한것 이지만 winget 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당연하게도 설치프로그램(installer)을 이용해서 설치과정을 거치치 않는 포터블 프로그램이라던가 직접 압축을 풀어서 복사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여기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
winget 만 입력해서 엔터를 눌러주면 위와 같은 기본 설명이 나옵니다. list, search, show, install, uninstall 정도만 알면 사용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install 과 uninstall 을 할때 프로그램의 '장치 ID' 를 입력해 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시험삼아 프로그램을 하나 설치해 보죠.
ares 라는 멀티 게임기 에뮬레이터를 설치한다고 하고 다음과 같이 검색해 봅시다.
뭔가 주저리 주저리 나옵니다. 우리가 설치할건 리스트중에 장치 ID가 AresEmulator.Ares 라고 되어 있는 겁니다. 이걸 설치해 봅니다.
설치가 끝났습니다. 위에서 '경로 환경변수 수정됨' 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건 프로그램이 설치된 위치를 환경변수에 넣어줬다는 겁니다. 그 뒤에 ' 셸을 다시 시작해서 새 값을 사용합니다." 라고 되어 있죠. 즉 현재 열어놓은 cmd 를 닫고 새로 cmd 를 열어야 바꿔준 환경변수가 적용됩니다.
새로 cmd 를 열고 ares 라고 입력하면 위와 같이 프로그램이 뜹니다.
위 과정을 보셔서 아시겠지만 winget 은 프로그램의 설치위치를 지정해 줄 수 없습니다.
위에 설치한 ares 프로그램 같은 경우 cmd 를 열어서 실행하는건 좀....아닌데.....화면에 단축아이콘도 안만들어 주고...어디에 설치되었는지 알기도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 프로그램이 대체 어디에 설치되었는지를 찾아 봤습니다. PATH 에 경로가 추가되었으니 PATH 를 찾아보면 됩니다. cmd 에서 echo %PATH% 를 입력해 보면 추가된 PATH 를 찾아 볼 수 있고 이걸로 설치된 경로를 찾아보니.....
"C:\Users\(사용자계정)\AppData\Local\Microsoft\WinGet\Packages\" 아래에 AresEmulator~~~~~ 라는 폴더를 만들어 설치했더군요.
어쨌던 이런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
글을 써놓고 생각해 봤는데.....예로 들은 ares emulator 같은 경우는 winget 으로 설치하는게 별로 인거 같습니다. 원래 설치 없이 압축풀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기도 하고.....설정파일 저장이나 에뮬에 쓰이는 bios 설치....그런걸 생각해 봤을때는 그냥 홈페이지에서 받아 설치하는게 나을거 같은.....뭐...어쨌던 사용법은 대충.....
>
winget 으로 설치한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습니다.
winget upgrade 라고 입력하면 업그레이드 가능한 프로그램의 목록이 나오고요.
winget upgrade <프로그램ID> 나 winget upgrade -all 로 전체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만....제 경우 전체 업그레이드는 안해 봤습니다. 시간이 많이 걸릴거 같아서.....
>
따로 프로그램 홈페이지들을 다니면서 설치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할 필요없이 간단히 설치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물론 winget 으로 설치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싶은것도 있는데 winget 으로 설치한건 간단히 삭제가 가능하니 아니다 싶으면 직접 다운받아 설치하시면 됩니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메인보드에 스피커 장착 (0) | 2025.05.23 |
---|---|
rx480 언더볼팅 2번째값 기록 (0) | 2025.05.11 |
2.5 인치 ADATA SU650 512gb 와 하드랙 (0) | 2025.05.11 |
rx480 구입후에 테스트 언더볼팅 (0) | 2025.05.06 |
rx480 리퍼 구입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