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민끝에 이번에 4350g 로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메모리는 듀얼로 해야 하니 8x2 인 16기가로 했고요. 보드는 애즈락 a520m 보드로 했습니다.

3300x 로 가서 외장 그래픽카드를 달것인가...4350g 로 내장 그래픽을 쓸 것인가를 고민했는데요. 어차피 게임도 많이 안하는 데다가...풀옵 욕심도 없고 720p 30프레임만 되도 그럭저럭 게임을 즐기는 사람인지라 그냥 내장 그래픽이 있는 4350g 를 쓰기로 했습니다.

 

기존에 쓰던게 라나 450 이다 보니 체감이 좀 많이 나긴 하네요. 딱히 벤치같은거 돌리는 성격이 아닌지라 위쳐3를 돌려본 스크린샷 이나 하나 올려 봅니다.

 

노비그라드 광장

예전에 라나 450 에 amd hd 7770 쓰던때완 비교가 안될정도로 쾌적하긴 한데, 그렇다고 엄청나게 좋은 것도 아닙니다.

 

일단 옵션은.....NPC 수는 낮음(75) 이고 대부분 옵션은 중간으로 한 상태 입니다. 안티나 hbao 같은 효과는 모두 끈 상태 고요. 텍스쳐는 높음 이었나.....

이런 상태로 900p(1440x900) 에서 30~40 프레임 정도 나옵니다. 가끔 28 프레임 정도로 낮아지는 경우가 있지만 거의 대부분 30프레임 이상이라 제 경우는 그냥 위와 같은 스크린샷 찍을때 제외하면 30 프레임 고정으로 플레이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라나 450 쓸때는 노비그라드에서 엄청 버벅댔습니다. CPU 가 딸려서 GPU 도 제 성능을 내지 못할 정도였죠. 하지만 4350g 는 역시 최근 CPU 답게 노비그라드에서도 거의 40% 이하의 CPU 밖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역시 내장그래픽의 한계가 있어서 라나 450 쓸때만큼 버벅이진 않지만 그렇다고 프레임이 엄청 잘 나오진 않습니다. CPU 가 좋으니 GPU가 아쉬워지는 순간이지만 뭐....그럭저럭 제 수준에선 게임 즐기기엔 문제가 없습니다.

 

>

 

기존에 쓰던 시스템 보다 전력소모는 더 적은데 성능은 비교가 안될 정도로 좋아서 개인적으론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내장그래픽도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라, 적당히 게임도 되는 컴퓨터를 만들 생각을 하고 계신다면 괜찮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전력소모도 적고 발열도 그리 심하지 않아서 미니 케이스에 넣어 소형 컴퓨터로 만들기도 좋을 것 같고요.

 

반응형

라나 450 의 클럭은 3.2 입니다. 위쳐3 돌려보니 역시 CPU가 좀 부족해서 그냥 오버해 봤습니다. 3.6까지 올리는 분들도 있던데 안정화 테스트 돌리기 귀찮아서 그냥 아주 조금만 올려 봤습니다.

 

사실 다른것 보다 NB(North Bridge)가 오버되면 성능이 좋아진다고 해서 시도했습니다. 체감은 좀 빨라진듯도 한데....뭐...잘 모르겠습니다.

CPU도 자신에게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잘 모르는지 온도도 오버전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사제 쿨러긴 한데.....

 

 

메인보드에서 FSB를 214로 맞췄는데 213.44 로 나오는데 이게 맞는건지.....어쨌던 그렇습니다.

 

예전 보드는 NB 설정이 따로 있었던것 같은데 이 보드는 HTLink 배수 설정밖에 없더군요. NB 전압설정도 없고....그래서 어차피 고클럭 오버는 안될거 같습니다. HTLink 는 2000을 넘긴 했지만 저 정도는 문제 없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니 그런걸로....

 

 

DDR2-800 램이니 원래 클럭은 400 Mhz 이고 오버된 상태가 413 이었던가 420이었던가....아무튼 대충 그정도 였는데....부팅은 잘 되고 대강 램 테스트 몇번도 별 문제 없었는데 위쳐3를 하는데 갑자기 프레임이 팍 떨어져서 4프레임 나오는 사태가 벌어지더군요.

이게 램탓이라는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ddr2 삼성램은 칼클럭이라는 말이 많아서 시험삼아 보드에서 667 로 하나 내려 설정을 해 놓으니 아직까지 별 문제는 없습니다. 전압을 올려볼까도 싶었는데 뭐....그렇게 까지....싶습니다. 뱅크도 4개 다 채워놔서 사실 별로 기대도 안하긴 했어요.

 

램 설정을 667로 맞추고 다른 램 설정은 그냥 Auto 로 해 놨더니 CL도 6으로 잡아 놓기에 강제로 5로 맞췄습니다. 위쳐3를 계속 돌려봤지만 별 문제 없는걸로 봐선 문제 없는것 같습니다.

 

>

 

아직도 라나 450 으로 위쳐3 돌리고 있는 사람은 아마 저 밖에 없을것 같으니....정보성도 없고 이건 그냥 기록으로 남겨 둡니다.

 

 

ps>

 

주말에 쉬다가 생각해보니 아무래도 램 클럭이 아쉬워서... 시험삼아 바이오스에서 다시 램을 800으로 맞추고 전압을 조금 더 줘 봤습니다.

 

재미있는건 바이오스에서 램 전압을 0~63 까지의 숫자로 올릴 수 있는데 기본값이 0이 아니라 12 입니다.

1이 +10mV 라니까 12면 +120mV 가 더 추가 되어 있는건데 bios 에서 전압을 확인해 보면 1.85V 정도로 표시됩니다. 숫자를 12에서 16으로 바꾸고 확인해 보니 1.904V 라고 나오는데 숫자를 17이나 18로 더 올려도 바이오스에선 1.904V 라고 나오네요. 더 올려서 확인해 볼까도 싶었는데, 이게 진짜 전압이 안올라가는건지 잘못 표시되는건지 확실히 알 수 없으니....괜히 고장날까봐 그냥 16으로 맞추고 위쳐3 몇시간 돌려보니 아직까진 문제 없습니다.

램 전압을 그래도 확인하고 싶어서 hwmonitor 를 실행해보니 값이 영....제대로 표시해 주지 못하는듯 하네요.

ddr2 램은 최소한 2.0V 까지는 걱정없다고 하니 뭐....괜찮겠죠.

시간날때 램 테스트라도 한번 돌려볼까 합니다. 예전에 통과한 이후에도 이상증상이 생기긴 했었지만....

반응형

며칠전 제 윈도우 10을 IDE 모드에서 AHCI 로 바꿨습니다. 이 경우 별도의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으면 윈도우의 표준 AHCI 드라이버가 설치됩니다.

AMD AHCI 드라이버를 따로 설치해야 하나 했는데 AMD 에서 제공하는 다음과 같은 문서를 발견했습니다.

 

https://www.amd.com/ko/support/kb/faq/pa-250

 

아주 간단히 요약하면,

AMD 의 AHCI 드라이버는 AMD의 6,7,8,9 시리즈 칩셋의 윈도우즈 7, 8.1 용 드라이버이니, Socket AM4나 TR4 에는 설치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또한, 기존의 6,7,8,9 시리즈 칩셋도 윈도우즈 10 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표준 AHCI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만약 수동으로 AMD 의 AHCI 드라이버를 설치했으면 안정성, 퍼포먼스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니 Rollback 하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러니, 윈도우 10 이라면 억지로 AMD AHCI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제조회사에서 하지 말랍니다. ^^;

 

반응형

이번에 중고로 구입한 사파이어의 AMD HD 7770 그래픽카드입니다. ATi 시절에 나온건지는 좀 가물가물 하네요.

 

위 사진과 같이 생긴녀석인데 일반 7770 보다 조금 오버클럭 되어 있는 녀석입니다.

 

GPU : 1000 Mhz -->1150 Mhz

Memory : 1125 Mhz -->1250 Mhz

 

로 오버 되어 있다고 합니다.

 

오버되어 있어서 그런건지 예전에 쓰던 6750 보다 방열판이나 팬의 크기가 더 큰거 같네요. 보조전원은 똑같이 6핀 하나 들어가는데 말이죠.

 

AMD 7850이나  Nvidia 560 정도로 살까 했었는데 별로 맘에 드는게 없어서 이걸로 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컴을 바꿔야 겠지만 라이젠 4세대가 성능이 많이 좋아져서 나온다고 하니 뭐....좀 더 쓰자 싶어서 그래픽카드만 조금 업했습니다.(이러다 언제나 사게될지....ㅎㅎ)

 

6750은 참 오래 썼고 좋은 녀석이었지만, 최근 패스 오브 엑자일에서 이펙트 터지면 넘 버벅대는 바람에 혹시나 나아질까 하고....DirectX 12 를 대비한다는 의미도 있고....(의미가 있나???)

 

7770 써보니 의외로 성능향상이 된게 느껴져서....제법이네...음.....하고 있습니다. 하긴 6850 보다 조금 떨어지는 성능이라 하니 전에 쓰던 6750에 비할 바는 아니겠죠.

 

그래도 프레임 드랍이 꽤 있어서 라나 450 CPU 의 한계인가...싶기도 한데....뭐....그래도 충분히 쓸만해 진 것 같습니다.

 

>

 

ps.

 

그래픽 카드 스펙은 인터넷에서 찾았던건데요. 실제로 확인해 보니....

 

GPU : 1100 Mhz

Memory : 1300 Mhz

 

였습니다. 여러가지 버전이 있었던 건지....지금에 와선 별로 중요한 내용은 아니지만 추가 해 놓습니다.

 

반응형



오픈소스 드라이버를 쓰다가 절전기능이 안된다고 해서 amd 의 드라이버를 직접 설치해서 사용한지 좀 된거 같은데요.


간단히 말하자면 쓸만합니다. 별다른 다운현상이나 문제를 겪어 보지 못했습니다.


3d 성능에 대해선 테스트 해보지 못해서 뭐라 말할 수 없지만 시스템 안정성에 대해선 최소한 충분히 쓸만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amd 드라이버보단 훨 낫습니다. 


3d 성능이나 절전기능이 아쉬운 분들은 직접 받아서 컴파일해서 사용해 보세요. 설치는 deb 파일 만들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설치하시고요.



반응형




다들 아시다시피 amd 의 상업그래픽드라이버인 fglrx 는 우분투의 소프트웨어센터의 설정 부분에서 쉽게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부팅중 다운증상이라던가 좀 자잘한 버그가 있습니다.
오픈소스 amd 그래픽드라이버는 안정성은 좋은편이지만 3d 그래픽성능이 떨어집니다.

그런데 제가 잊고 있었던게 하나 있었는데 어제 커널 3.12 에 대한 내용을 보다 생각났습니다. amd 오픈소스드라이버는 그래픽카드 절전기능이 안됩니다. 이 기능은 커널 3.12 에 추가되고 3.13 에서 기본으로 설정될거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잠시 고민하다가 버그있는 우분투 fglrx 말고 amd 의 최신 베타버전을 설치해 보기로 했습니다. 다운로드는 amd 사이트에 가면 리눅스용 베타버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설치방법은 http://colibuntu.blogspot.com/2013/10/amd.html 블로그를 참고 했습니다.
윗글 아래쪽에도 나와있지만 deb 파일을 만들어서 설치하기를 권장합니다. 나중에 삭제하기도 훨씬 쉽습니다.

그런데 이 방법의 설치는 초보자에겐 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한번에 설치용 deb 파일이 잘 생성된다는 보장이 없거든요.
제 경우에도 컴파일 과정중(컴파일은 자동으로 수행됩니다만....) 에러가 2번 발생했습니다. 이럴땐 /usr/share/ati 디렉토리에 fglrx-install.log 파일을 확인해서 왜 에러가 발생했는지 파악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초보자의 경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제 경우는 첫번째는 execstack not found 란 에러라 해당 패키지를 설치해주었고, 2번째는 dh_xxxalias not found 던가...파일명은 잘 생각 안나는데 아무튼 그런 메시지가 있어서 역시 해당 패키지를 synaptic 에서 찾아 설치를 해주고 진행했습니다. 제 경우는 위 두패키지만 설치해 주니 잘 되긴 했는데....다른분들은 어떨지 장담은 못합니다.

하지만, deb 파일을 만들어 설치하는건 어차피 실패한다고 해도 시스템 자체에 영향을 주는건 아니니까 겁먹지 말고 직접한번 시도해 보셔도 좋습니다. 뭐...그러면서 배우는 거죠.

무사히 잘 끝나면 deb 파일이 3개 생깁니다. 이걸 모두 설치해 주고 터미널에서 "sudo aticonfig --initial" 을 한번 실행해 주신후에 재부팅하면 설치는 끝납니다.

설치후에 카탈리스트센터를 띄우려고 했더니 제가 루분투를 써서 그런건지 몰라도 프로그램이 메뉴에 등록이 안되어 있더군요. 수동으로 실행하려고 했는데 대체 어디있는건지...이럴땐 synaptic 에서 보면(확인해 보려는 패키지를 선택후에 오른쪽 버튼눌러서 메뉴에서 이렇게 저렇게 선택해 보면 됩니다. ^^;) 특정패키지의 파일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위치는 /usr/lib/fglrx/bin 이고 amdcccle 를 실행하면 됩니다. "./amdcccle" 이런식으로 터미널에서 실행해 주세요. 몇몇 설정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하지만 보통은 크게 설정해 줄것도 없습니다. 그냥 드라이버 설치는 잘되었는지 확인차.....




다시 오픈소스 amd 드라이버로 돌아가려면....해보진 않았는데 제가 직접 컴파일후 설치한 이후에도 소프트웨어센터 설정부분에선 이렇게 나오더군요.



그러니 여기서 오픈소스 드라이버로 되돌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직접해보진 않았습니다.

수동으로 되돌리는 방법은 다음링크를 참고해 보세요.

https://wiki.ubuntu.com/X/Troubleshooting/VideoDriverDetection#Problem:_Need_to_purge_-fglrx

이 부분은 아직 저도 직접 해보지 않았기에 잘 된다고 장담은 못합니다. 참고만 하시라고....




이틀정도 써봤는데 큰 문제는 없어 보이긴 하지만 아직 안정성이나 이런부분을 말하기는 좀 이르죠. 최소 일주일은 써봐야.....3d 성능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데 유로트럭2를 또 설치하기도 좀...패드문제로 인해 리눅스에서 즐기긴 좀 뭐한데 말이죠. 키보드로 하기도 좀 그렇고......게다가 세이브 파일 공유가 되면 좋을텐데 그것도 안되서 윈도우와 리눅스 양쪽에 설치해서 하기도 뭐하고....

그나저나 리눅스용 카탈센터에선 그래픽카드 클럭이나 온도를 보여주질 않네요. 뭐야 이거..... ㅡㅡ; 그래도 계속 개발해주니 고맙다고 해야 하나....AMD 좀 잘해 주세요. ^^/




반응형

 


우분투 13.04 가 나왔습니다.


Unity 환경은 이젠 완전히 익숙해져 버려서....처음부터 저는 크게 불편함을 못느끼긴 했습니다만...^^;



제 경우는 업그레이드로 설치한거라...새로 설치하면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눈에 띄는 거라면 아이콘이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왼쪽에 보면 노틸러스 아이콘(위에서 2번째) 도 바뀌었고 소프트웨어 센터 아이콘도 바뀌었습니다. 그외에 여러 아이콘들이 바뀌었더군요. 보기에 더 좋은듯 합니다. 


화면 오른쪽 위에 알림영역에 보면 구름모양의 아이콘이 보이는데 이게 ubuntu one 아이콘입니다. 아예 기본으로 실행되도록 해 놓았더군요. 예전에 우분투원을 써 봤을땐 그 속도가 정말 너무나 느렸었는데 요즘은 좀 나아졌으려나요. 테스트를 좀 해보고 놔둘지 지울지를 생각해 봐야 겠습니다. 드롭박스에 만족하고 있어서....





파일관리자인 노틸러스도 많이 바뀌었더군요. 위 스샷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일단 디자인도 바뀌었고, 메뉴로 표시되었던 각종 설정들이 메뉴창이 아니라 상단 맨 오른쪽 톱니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메뉴가 나오도록 변경되었습니다.

폴더 내용보기도 그 옆에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쉽게 변경할수 있고, 파일검색도 돋보기 아이콘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론 무척 불편했던 부분이 상당부분 해결 되었네요.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 스팀이 추가 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직 설치해 보지는 않았습니다만....윈도우에서 실행되는 모든 게임들이 우분투에서 실행될거라고 착각하시면 좀 곤란합니다. 우분투를 지원하는 게임만 실행이 가능합니다. 윈도우에 비해서 게임은 적겠지만 아무튼 이런 게임서비스가 시작되었다는데에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것 같군요.




마지막으로 제 경우 amd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업그레이드 이후에 화면 오른쪽 아래에 지원되지 않는 그래픽카드라는 워터마크가 계속 떠 있더군요. (unsupported graphic card 였던가 뭐였던가....아무튼....스샷은 못찍어 놨네요)


해결방법은.....

우선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를 실행합니다.

메뉴에서  "편집->소프트웨어소스" 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창이 뜹니다. 추가드라이버 탭을 클릭해 주세요.


위 스샷에서 처럼 fglrx-updates 를 선택하고 "바뀐내용적용" 버튼을 누르면 새 드라이버가 설치됩니다. 시스템을 재 시작하시면 워터마크가 없어져 있을 것입니다.




업그레이드를 해서 그런가 부팅후에 시스템 오류 창이 자꾸 뜨는데 이거 좀 해결해 봐야 겠네요. 사실 전에도 가끔 뜨던거라 크게 신경쓰지는 않고 있기는 한데요....


디자인도 좀 더 보기좋게 바뀌었고, 좀 더 편의성이 좋게 수정된 부분이 맘에 듭니다. 안정성은 좀 더 써봐야 알 수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불편할 정도로 안정성이 떨어졌던 경우는 없었기 때문에....^^;







반응형


최근 그래픽카드를 교체 했습니다. ati 4670 을 계속 써오다가 ati(지금은 amd 입니다만...) 6750 으로 교체했습니다.
4670 은 참 좋은 그래픽 카드였습니다. 저전력에 그럭저럭한 성능을 보여주었죠. 지금도 해상도를 낮춰서 돌리면 대부분 게임을 돌리는데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최근 ATi 6750 512m 를 비교적 저렴하게 판매하는 행사를 발견해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택배비까지 대략 8.6만 정도 들었습니다. 8월말까지 하는 행사라고 했는데 그 이후에도 이가격으로 팔지 어떨지는 잘 모르겠네요. ^^;

6850 같은 하이엔드급 그래픽카드는 제게는 좀 과분하고, 파워도 450w 인데 좀 오래사용하기도 했고 비교적 저렴한 제품이라 저전력 제품이면서도 그럭저럭 쓸만한 6750이 제게는 적격이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ati 6750 은 사실 5750 과 거의 같은 제품입니다. HDMI 규격이 1.4 로 올랐다던가 하는 마이너체인지 외에 기본 성능은 거의 같습니다. 6770 도 마찬가지고요. 때문에 다른 6xxx 계열이 갖고 있는 동영상 관련 기능인 UVD3 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동영상 가속능력의 차이라고 하는데 제겐 큰 지장이 없는 기능이니....

어쨌던....성능은 예전의 4850 과 같다고 하고 실제로 제가 써본바로도 4850 과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이는것 같습니다. 전력은 물론 4850 보다 훨 덜먹습니다.


구입시에 nvidia 의 gts450 도 염두해 두었었습니다. 게임을 그렇게 많이 하지 않기에 딱히 심각하게 고려했던건 아니고, nvidia 를 특별히 선호하지도 않습니다. 특별히 피직스에도 미련이 없고요.
다만 단순히, ati 를 써봤으니 이번엔 nvidia 를 써볼까도 싶었는데 저 6750 가격이 좋게 나와서......풀로드시의 전력소모도 6750 쪽이 더 적기도 하고요.

gts450 과 6750 자체의 성능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습니다. 거의 동급이라고 보면 되는데 가끔 nvidia 에 최적화된 게임이 나온다던가 피직스 때문에 아직 nvidia 를 선호하는 분이 계십니다. 이번에 제가 구입한 저렴한 제품을 제외하면 사실 가격대도 비슷해서 그냥 선호하는 쪽으로 구입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가끔 ati 드라이버가 설치가 어렵다고 하시는 분이 계신데....직접 쓰고 있는 제가 말합니다만.....5xxx 버전 초기에는 문제가 좀 있었던 적이 있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별다른 문제 없습니다. 그당시에도 4670 을 쓰고 있었던 저는 큰 문제는 만나지 못했었고요. 지금도 그냥 드라이버 업그레이드 되면 막 설치하는데 문제는 겪어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드라이버 관련 문제는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5750 을 그대로 재활용한 제품이라는게 좀 아쉽긴 하지만......게임을 그다지 많이 하지 않으면서 어느정도의 성능을 바라는 저 같은 사람에겐 매우 적합한 제품인것 같습니다.


반응형


자세한 이미지와 제품 설명은 유통회사의 홈페이지를 링크 하겠습니다. 링크

제품은 히트파이프 3개의 타워형 쿨러 입니다. 92mm 펜이 장착되어 있고요. 듀얼팬 구성도 가능하며 팬을 하나 더 달 수 있는 가이드도 제공합니다.

AMD와 인텔 모두 사용가능하며 AMD는 정품쿨러다는것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이 제품을 구입한 이유는 별다른 이유는 없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했기 때문입니다. 다나와의 HIT3 상품이기도 하고 평도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었고요.



저는 AMD CPU라 별다른 설치법없이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했습니다.
설치 자체는 솔직히 어렵지 않은데 잘 몰라서 좀 헤멨습니다. 그 와중에 고정레버(?)쪽 코팅이 조금 벗겨지기도 했습니다. 설치하실분은 인터넷에서 동영상으로된 설치법이 있으니 찾아서 보고 설치하시면 저처럼 삽질하는것을 방지하실 수 있을겁니다.

제 보드는 유니텍의 780g 맘모스 보드인데 설치시 다른부품과의 간섭은 전혀 없었습니다. 쿨러의 높이가 램의 높이보다 높아서 대부분 다른보드와도 램과의 간섭은 없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우선 말씀드릴건 이하 이미지들은 동일조건하의 테스트 결과가 아니란 사실입니다. 따라서 의미를 부여하기보단 그냥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사실 좀 고민을 했지만 솔직히 스샷찍기 귀찮기도 하고해서 ㅡㅡ;
원래 정확한 리뷰 용도로 쓰는것도 아니므로 그냥 재미로 봐주세요. ^^;

사용 CPU는 AMD 의 프로푸스 635, 유니텍 780g 맘모스보드 입니다.

우선 설치전의 하드웨어 상태를 보죠. 전에 올린 이미지 입니다.


CPU 온도인 TMPIN0의 최고온도는 무려 76도 팬은 무려 4400 rpm 가량입니다. 코어는 최고 63도군요.



설치후의 온도입니다. 사실 위의 스샷과는 좀 다른테스트 였습니다. 3D 게임을 하고난 뒤에 측정을 한거거든요. 그래서 정확한 비교는 사실 어렵겠습니다만...IDLE 시의 최저온도는 별 차이 없지만(팬 속도는 차이가 꽤 되지만 말이죠.) 최대 온도는 상당히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팬 속도는 최대가 1900 rpm 정도 였군요. 만족스러운 결과입니다.

솔직히 정확한 비교는 아닙니다. 왜냐하면 위는 CPU 전압 1.4v 의 결과이고, 아래의 결과는 전압을 1.25v 정도로 낮춘후에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런점을 고려하더라도 3D 게임 수시간을 돌렸는데 최고온도가 54도 정도라면 비교적 양호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쿨러 사용방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일단 처음부팅시엔 rpm이 3000 rpm 으로 돌아가는데 이때 쿨러 소리를 들어보면 제법 시끄럽습니다. 따라서 조용히 쓰시기 위해선 바이오스에서 스마트팬 설정은 필수 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보통 돌아가는 1700 rpm 최대 1900 rpm 정도에선 조용하게 돌아가고 그 정도 속도로 CPU를 충분히 식혀주기 때문에 팬소음은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다만 스마트팬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거나 하시는 분은 좀 곤란 하실 수 있겠습니다. 이럴땐 별수없이 외부에 CPU 펜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달아서 사용하셔야 겠지요.



CPU 쿨러다 보니 이 이상 할말은 없군요.

사실 좀 더 돈주고 써모랩의 BADA2010 제품을 살까 하고 고민을 했었습니다. 다만 택배비하면 거의 8000-10000원 비싼 가격이라....사제 쿨러를 3만원까지 주고 사서 쓰긴 좀 망설여 지더군요. 하지만 또 만원돈 아끼려고 싸게 샀다가 제품이 영 아니면 그것도 문제고 말이죠.

결국 고민하다 쿨러마스터 제품을 샀는데 만족합니다. 제가 만족할만한 수준의 성능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쉬운점은 설명서에 한글이 전혀 없다는 점일까요. 사실 크게 아쉬워 할만한 이유도 아니지만 일본어에 중국어, 별의 별 나라말이 다 있던데 한글은 없더군요.

반응형


현재 프로푸스 635의 전압을 1.25v 로 낮추어서 써보고 있습니다. 쿨콰도 정상작동 하네요. cpu-z 로 보니 실제 걸리는 전압은 1.27 - 1.28v 정도로 표시가 되고 있습니다. 보드의 한계인것 같네요. 쩝....

일단 윈도우 부팅 잘 되고, 그냥 쓰는건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부하가 걸리면 어떨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 Prime95 10분정도 돌려본 바로는 바로 문제가 생길걱정은 없어 보입니다. 더 실험해 보고 싶었지만 쿨러가 너무 시끄러워서....ㅡㅡ;



프로푸스 635의 기본전압에 대해 이리저리 조사를 좀 해봤는데 딱히 이거다 싶은건 없더군요. 오버클러킹 사이트에선 대부분 기본전압을 1.4v 라고 이야기 하면서 진행을 하고 있고...

그러던중 amd 사이트에 635가 2종류가 있다는걸 발견했습니다.

c3스태핑c2스태핑 입니다. 그런데 신뢰도가 좀....보시면 아시겠지만 c3 스태핑쪽에 'Max Temps' 부분에 전압이 들어가 있습니다. AMD....홈페이지 관리좀 제대로 못하겠냐..... ㅡㅡ;

어쨌던,
c2 의 경우는 0.85-1.25V
c3 의 경우는
0.875-1.4V

라고 표에 나와 있습니다.

AMD 포럼에도 질문이 몇개 있었는데, 그 질문내용도 왜 전압이 1.4v 로 잡히느냐 라는거였습니다. 그 답변도 위의 표가 보여주는 결과와 일치하긴 하는데 맞는 말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쩝....

대부분 1.4v 라고 하니까 그냥 써도 별 문제 없는것 같긴 합니다. 오버클럭 사이트등에서도 대부분 1.4v를 기본이라고 보고 거기서부터 전압을 올려서 테스트를 하고 있더군요.

오버할거라면야 그냥 1.4v 로 써도 되겠지만 저는 오버할것도 아니라서....전기료도 좀 아끼고 씨피유 온도도 좀 낮추고 하려고요.

어쨌던 별 문제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뭐...사실 실제 스펙이 1.4v 인 625나 630으로도 1.2v 이하로 설정해 놓고 쓰시는 분도 많으니 그렇게 걱정할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

ps>
현재는 보드에서 1.225v 로 설정했습니다. 실제로는 1.24v 정도가 들어가며 풀로드시엔 1.28v 정도까지도 올라가고 어쩔땐 1.296v 로 표시가 되기도 하네요.
linx 20회 테스트와 3D 게임 수시간 동작시에도 문제가 없는걸 보면 이대로 사용해도 될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이 맘모스 보드, 전압설정은 그저 그러네요.....ㅡㅡ;

+ Recent posts